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감성분석을 이용한 문화도시 프로젝트의 공간 인식 변화 - 춘천시 ‘도시가 살롱’ 사업 대상지의 장소성 변화를 중심으로

이용수  40

영문명
A Study on Spatial Perception Change in Cultural City Project using Sentiment Analysis : Focusing on the changing sense of place of Chuncheon 'Dosiga Salon'
발행기관
한국주거환경학회
저자명
신인진(In Jin Shin) 김남혁(Nam Hyouk Kim) 김승희(Seung Hee Kim)
간행물 정보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제23권 제1호 (통권 제67호), 135~152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개발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With the enactment of the “Regional Culture Promotion Act” in 2014,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has been designating cultural cities as a sustainable regional development strategy since 2018. In line with this policy, numerous urban regeneration and cultural city projects have been actively implemented to revitalize cultural spaces and enhance the sense of place within cities. Among them, Chuncheon's ‘Dosiga Salon’ project stands as a representative case of a public cultural initiative fostering community engagement and cultural exchange by providing residents with spaces to gather and share cultural experienc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nges in spatial perception resulting from the ‘Dosiga Salon’ project using sentiment analysis and topic modeling. By analyzing user-generated reviews of the designated project sites before and after implementation, the study aims to identify changes in key keywords and emotional responses associated with these spaces. To achieve this, Naver Map review data was collected through web scraping, followed by the application of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topic modeling and sentiment analysis techniques. The results indicate that,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Dosiga Salon’ project, user reviews demonstrated a stronger emphasis on emotional and communal experiences rather than mere physical attributes. The sentiment analysis revealed an increase in positive sentiments (from 33.7% to 45.1%), suggesting an improved perception of these spaces. Moreover, keywords related to community engagement, family-friendly environments, and atmosphere became more prominent post-project. This study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how public cultural projects influence urban spatial perception and provides policy insight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future initiatives.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인진(In Jin Shin),김남혁(Nam Hyouk Kim),김승희(Seung Hee Kim). (2025).감성분석을 이용한 문화도시 프로젝트의 공간 인식 변화 - 춘천시 ‘도시가 살롱’ 사업 대상지의 장소성 변화를 중심으로.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23 (1), 135-152

MLA

신인진(In Jin Shin),김남혁(Nam Hyouk Kim),김승희(Seung Hee Kim). "감성분석을 이용한 문화도시 프로젝트의 공간 인식 변화 - 춘천시 ‘도시가 살롱’ 사업 대상지의 장소성 변화를 중심으로."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23.1(2025): 135-1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