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연대경제기업 경영자의 리더십이 시장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인지정과 협동조합의 조절효과 분석
이용수 12
- 영문명
- The Impact of Managers' Leadership on Market Orientation in Social and Solidarity Economy Enterprise: An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s of Certification and Cooperatives
- 발행기관
- 리더십학회
- 저자명
- 박하윤(Hayoon Park) 서진선(Jinseon Seo)
- 간행물 정보
- 『리더십연구』제15권 제4호, 59~92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사회연대경제기업을 대상으로 경로목표이론의 지시, 지원, 참여, 성취지향리더십이 시장지향성의 하위요인인 고객지향성, 경쟁자지향성, 부서 간 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사회적 기업과 마을기업 등 인지정 여부, 민주적인 지배구조를 가진협동조합 여부, 취약계층 고용유무를 사회연대경제기업의 상황요인으로 보고, 이 요인들이 경영자 리더십 유형과 시장지향성 간 관계를 조절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연대경제기업 경영자의 지시리더십은 시장지향성에 영향을 주지 못했다. 지원리더십은 고객지향성에는 약하게, 부서 간 조정에는 강하게 정(+)의 영향을 주었으나 경쟁자지향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참여리더십과 성취지향리더십은 고객지향성, 경쟁자지향성, 부서 간 조정에 정(+)의 영향을 주었다. 둘째, 인지정 여부는 지시리더십과 고객지향성 간 관계에 부(-)의 조절효과를, 협동조합 여부는 참여리더십과 고객지향성 간 관계에 정(+)의 조절효과를, 지시리더십과 경쟁자지향성 간 관계에 부(-)의 조절효과를 약하게 가지는 반면에 참여리더십과 경쟁자지향성 간 관계에 정(+)의 조절효과를 가졌다. 즉, 인지정을 받은 사회연대경제기업에서 지시리더십은 고객지향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약하게 주었으며, 협동조합 법인형태를 갖춘 기업에서 지시리더십은 경쟁자지향성을 낮추는 반면, 참여리더십은 고객지향성과 경쟁자지향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회연대경제기업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중요한 시장지향성을 높이는 데 필요한 리더십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고 인지정과 민주적 지배구조를 가진 협동조합이라는 상황변수가 조절효과를 가진다는 점을 확인했다는 의의가 있다. 실무적으로 시장지향성 향상을 위해서 사회연대경제기업의 상황에 맞는 리더십 유형을 제공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directive, supportive, participative, and achievementoriented leadership, as defined by the path-goal theory, on market orientation in social and solidarity economy enterprises(SSEEs). Also, it considers as contingency factors whether a SSEE is certified, whether it is a cooperative, and whether it employs vulnerable groups. The study seeks to determine whether these factors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styles and market orientation.
The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irective leadership of SSEE managers did not affect market orientation. Supportive leadership had a weak positive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and a strong positive effect on interfunctional coordination but did not impact competitor orientation.
Both participative and achievement-oriented leadership positively influenced customer orientation, competitor orientation, and interfunctional coordination. Second, the interaction term of directive leadership and certification had a weak negative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The interaction of participative leadership and cooperative had a weak positive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while the interaction of directive leadership and cooperatives had a weak negative effect on competitor orientation. Conversely, the interaction of participative leadership and cooperatives had a positive effect on competitor orientation. Thus, in certified SSEEs, directive leadership slightly reduced customer orientation. In co-operative enterprises, directive leadership lowered competitor orientation, while participative leadership enhanced both customer and competitor orienta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identifying which leadership styles are necessary to enhance market orientation - an important factor for SSEEs to gain competitiveness - and in determining the contigency factors that have moderating effec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가설설정 및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