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이츠의 시에 나타난 아니마와 아니무스에 대한 심리학적 고찰

이용수  0

영문명
The Psychological Study on Anima and Animus in Yeats’s Poetry
발행기관
한국예이츠학회
저자명
한학선(Haksun Han)
간행물 정보
『한국 예이츠 저널』52권, 293~319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4.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융의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예이츠의 아니마와 모드 곤의 아니무스가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며, 어떠한 발전과정을 거쳐 그의 시에서 표출되는지를 고찰한다. 시인은 모드 곤과의 관계에서 아니마와 아니무스가 조화롭게 결합된 이상적 남녀관계를 갈구했지만, 다른 남성을 향한 아니무스 투사로 인한 그녀의 무관심과 냉대, 다른 여성을 향한 시인의 아니마 투사의 방해 등으로 현실에서 그 꿈을 좌절당했다. 시인은 이러한 힘든 과정을 극복하고 내면에 존재하는 집단무의식의 여러 가지 원형들과 조화로운 의식적 관계를 맺음으로써 자아를 실현하고 존재의 통일이라는 철학적 개념을 완성하기에 이른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plores how Yeats’s Anima and Maud Gonne’s Animus interact and how they are expressed in Yeats’s poetry from the perspectives of Jungian analytical psychology. Yeats craves for an ideal relationship with Maud Gonne where Anima and Animus are harmoniously unified, but his dream is unfulfilled due to her Animus projection to other men and her interference with his Anima projection to other women. In spite of this hardship, he establishes a harmonious relationship with various archetypes in his collective unconscious, which helps with his self-discovery and the completion of his philosophical concept, the Unity of Being.

목차

들어가는 말
I. 집단 무의식의 원형에 대한 고찰
II. 예이츠의 초기 시와 중기 시에 나타난 아니마와 아니무스
III. 아니마와 자아실현
나오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학선(Haksun Han). (2017).예이츠의 시에 나타난 아니마와 아니무스에 대한 심리학적 고찰. 한국 예이츠 저널, (), 293-319

MLA

한학선(Haksun Han). "예이츠의 시에 나타난 아니마와 아니무스에 대한 심리학적 고찰." 한국 예이츠 저널, (2017): 293-3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