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스마트팩토리 고도화 도입의도 영향 요인 탐색 - TOE 프레임워크를 중심으로

이용수  28

영문명
Exploring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Introduce Advanced Smart Factory : Focused on Technology, Organization, Environment Framework
발행기관
한국생산관리학회
저자명
이성종(SeoungJong Lee) 윤미현(Mihyun Yoon) 조인수(Insu Cho)
간행물 정보
『한국생산관리학회지』第36卷 第1號, 93~11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2.28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4차 산업혁명 기술의 발전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독일, 미국, 일본, 중국 등 주요 선도국들은 스마트팩토리를 적극적으로 채택하고 있으며, 한국 정부도 2014년부터 중소·중견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팩토리 보급 및 확산 사업을 추진해왔다. 2022년 말까지 총 30,144개 업체를 지원하며 양적 목표를 달성했으나, 많은 기업이 MES, ERP 등 기초적인 솔루션 도입에 머물러 있으며 질적 고도화는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정부는 기초단계에서 벗어나 스마트팩토리가 고도화되어 운영될 때 지속 성장하게 될 것으로 판단하여 지능형 스마트 제조혁신 생태계 고도화 방안을 발표하였다. 즉, 제조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스마트팩토리의 고도화 단계로의 전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팩토리 기초단계 이상의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고도화 도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기술적 요인(상대적 이점, 호환성, 사용 용이성)은 사용자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사용자 만족도는 도입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적 요인(경영자 의지, ICT 활용 역량) 또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환경적 요인 중 정부 지원은 도입의도에 영향을 미친 반면, 재정 능력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연구는 스마트팩토리 초기 도입단계의 요인이나 개별 고도화 기술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본 연구는 기술적, 조직적, 환경적 관점에서 스마트팩토리 고도화 도입에 관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하며 실무적·학술적 의의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With the rapid progres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digital transformation is accelerating globally, and countries such as Germany, the United States, Japan, and China are actively adopting smart factories. Since 2014, the Korean government has promoted smart factory adoption among SMEs, supporting 30,144 companies by the end of 2022. However, many remain at the basic stage, implementing only fundamental solutions such as MES and ERP, with insufficient qualitative advancement. To enhance manufacturing competitiveness, transitioning to advanced smart factories is essential. This study surveyed companies beyond the basic level to analyze factors influencing their intention to advance. The results indicate that technical factors, including relative advantage, compatibility, and ease of use, positively impact user satisfaction, which, in turn, influences the intention to advance. Organizational factors, such as the manager’s commitment and ICT capability, also have a significant effect. Among environmental factors, government support positively affects the intention to advance, while financial ability does not show a significant impact. Previous studies have primarily focused on the early adoption stage of smart factories or individual technologies. In contrast, this study provides new insights into the transition toward smart factory advancement, contributing both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by identifying key factors influencing further implement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 설계
Ⅳ. 실증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성종(SeoungJong Lee),윤미현(Mihyun Yoon),조인수(Insu Cho). (2025).스마트팩토리 고도화 도입의도 영향 요인 탐색 - TOE 프레임워크를 중심으로. 한국생산관리학회지, 36 (1), 93-112

MLA

이성종(SeoungJong Lee),윤미현(Mihyun Yoon),조인수(Insu Cho). "스마트팩토리 고도화 도입의도 영향 요인 탐색 - TOE 프레임워크를 중심으로." 한국생산관리학회지, 36.1(2025): 93-1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