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서비스 면적이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강남 3구와 2기 신도시의 2023년 국민주택 거래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13

영문명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ervice Area on Apartment Prices: Focusing on National Housing-sized Units in Gangnam, Seocho, Songpa, and the Second-phase New Towns in 2023
발행기관
건국대학교 부동산도시연구원
저자명
최민정(Min-Jung Choi) 노승환(Seung-Han Ro) 박종현(Jong-Hyun Park)
간행물 정보
『부동산 도시연구』제17권 제2호, 87~117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2.28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국내 아파트 시장에서 서비스 면적은 오랜 기간 소비자들의 선호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담당해왔다. 1970년대 국민주택 규모(전용면적 85㎡ 이하)의 등장 이후, 소비자들은 중소형 규모 주거가 갖는 면적의 한계를 서비스 면적 을 통해 극복하였다. 또한 2005년 발코니 확장 합법화 이후 서비스 면적은 더욱 커지고 다양한 형태로 등장하였다. 서비스 면적은 국내 아파트 시장의 제도 및 산업적 측면을 아우르는 여러 쟁점을 갖고 있으나, 서비스 면적을 부동 산 가치와 연관 지은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면적이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 한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2005년 이후 공급된 강남 3구 지역과 2기 신도시의 아파트 12개 단지를 선정하였고, 전용면적 85㎡ 이하 규모의 평면도를 확보한 뒤 AutoCAD 프로그램을 활용해 서비스 면적을 산정하였다. 2023년 4월-10월 사이의 거래 사례 790건을 대상으로 헤도닉 가격모형을 활용해 선형회귀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서비스면적비율과 종속변수인 면적당 가격이 정(+)의 관계로 나타났으며, 소형 세대일수록 서비스 면 적의 효용이 더 높고, 강남 3구 지역의 아파트의 서비스면적 비율이 2기 신도시 지역의 아파트에 비해 낮음을 확인 하였다. 본 연구는 서비스 면적을 정확한 근사치로 산출하여 분석에 활용한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그러나 면적 추출 과 정에서 일부 자의적인 판단으로 면적을 산정한 부분이 있으며, 분석자료의 한계가 존재한다. 향후 자료의 보완을 통해 후속 연구를 희망한다.

영문 초록

In the domestic apartment market, additional free space has long been a factor that has increased consumer preference. Since the emergence of the national housing size (with an area of exclusive use space of 85m or less) in the 1970s, consumers have overcome the limitations 2 of the area of small and medium-sized housing through additional free space. In addition, since the legalization of balcony expansion in 2005, additional free space has become larger and appeared in various forms. additional free space has various issues that cover the institutional and industrial aspects of the domestic apartment market, bu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linking additional free space to real estate value.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impact of additional free space on apartment prices. We selected 12 apartment complexes in the three of Gangnam districts and the second phase of new towns that were supplied after 2005, and After securing floor plans of an apartment with an area of exclusive use space of 85m or less, the additional free space was calculated 2 using the AutoCAD program.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Hedonic price models for 790 transactions between April and October 2023.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additional free space ratio and the dependent variable, price per area, were positively related, and that the smaller the apartment, the higher the utility of the additional free space.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additional free space ratio of apartments in the three of Gangnam region was lower than that of apartments in the second-phase New Town reg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alculated the additional free space to an accurate approximation and used it for analysis. However, there are some issues with the calculation of the area size, which was calculated based on some arbitrary judgments, and thus there are limitations in data. We hope to conduct follow-up research by refining the data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Ⅲ. 분석모형 및 변수 설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민정(Min-Jung Choi),노승환(Seung-Han Ro),박종현(Jong-Hyun Park). (2025).서비스 면적이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강남 3구와 2기 신도시의 2023년 국민주택 거래 사례를 중심으로. 부동산 도시연구, 17 (2), 87-117

MLA

최민정(Min-Jung Choi),노승환(Seung-Han Ro),박종현(Jong-Hyun Park). "서비스 면적이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강남 3구와 2기 신도시의 2023년 국민주택 거래 사례를 중심으로." 부동산 도시연구, 17.2(2025): 87-1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