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건축 단계별 진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정책과 아파트 단지 특성을 중심으로
이용수 40
- 영문명
- Analysis of the Actors Affecting the Advancing of the Reconstruction Process: Focusing on Policies and Apartment Complex Characteristics
- 발행기관
- 건국대학교 부동산도시연구원
- 저자명
- 이미윤(Mi-yun Lee) 신건호(Gun-Ho Shin)
- 간행물 정보
- 『부동산 도시연구』제17권 제2호, 69~8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서울시 재건축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단지 특성, 시장 환경, 정책 변수가 재건축 단계별 추진 과정 에 미치는 영향을 패널 순서형 로짓 모델과 패널 다항 로짓 모델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아파 트 매매 거래량과 CD 금리는 대부분의 재건축 단계에서 음(-)의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거래량 증가는 추가적인 미래 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형성을 통하여 조합원 사이에 이해관계 충돌 및 추진 지연을 야기하는 요인으로 작용하 였다. CD 금리 상승은 재건축 자금 조달 비용을 증가시켜 재건축 단계의 진행을 저해하였다. 재건축 초과이익환수 제 중단 또한 정책 불확실성과 조합 내 합의 지연으로 인해 재건축 단계 상위 이동을 방해하는 부정적 효과를 가져 왔다. 이는 제도 중단이 재건축 추진을 촉진하기보다 시장의 혼란을 증폭시켰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재건축 단 계별로 작용하는 정책적, 경제적 변수들의 상대적 중요성을 평가하고, 이를 통해 재건축 사업의 효율적 추진과 정 책 설계에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s of apartment complex characteristics, market environment, and policy variables on the reconstruction process in different stages of reconstruction using a panel-ordered logit model and a panel multinomial logit model for apartment complexes in reconstruction stages in Seoul. The results show that apartment sales transaction volume and CD rates have a negative impact on most stages of reconstruction and that the increase in transaction volume is a factor that creates conflicts of interest and delays among unit owners through the formation of expectations of further future price increases. The rise in CD rates increased the cost of financing the reconstruction, which hindered the progress of the reconstruction phase. The suspension of the excess rebuilding gains tax also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movement up the reconstruction ladder due to policy uncertainty and delays in reconstruction partnership consensus.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suspension of the program amplified market disruptions rather than facilitating the rebuilding drive. This study assesses the relative importance of policy and economic variables at different stages of reconstruction, which has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efficient implementation of reconstruction projects and policy design.
목차
Ⅰ. 연구 배경 및 목적
Ⅱ.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Ⅲ. 기초자료 구축 및 분석모형 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