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셰이머스 히니 시와 “그늘의 발달”

이용수  2

영문명
Seamus Heaney’s Poems and “Development of Shadow”
발행기관
한국예이츠학회
저자명
강민건(Min Gun Kang)
간행물 정보
『한국 예이츠 저널』73권, 87~104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셰이머스 히니(Seamus Heaney) 시에 드러난 일관된 시학을 탈식민주의적 글쓰기라고 가정한다면, 그의 글쓰기는 단순한 개념의 정치 사회적 주장이라기보다는 기존의 중심주의, 중앙주의, 다수의 시공간적으로 설정된 지점을, 삭제된 주변화, 지역주의, 소수 즉 상징적 개념의 “그늘”로 재현하고 있다. 식민지 이후의 공간과 사람들에 대한 이러한 글쓰기와 이해는 기존의 탈식민주의의 가능성과는 다른 방식으로 작동한다. 히니는 기억을 통해 드러나는 식민공간을 물리적 노동의 생존 공간이자 창의적이고 생산적 공간으로 재현한다. 즉 익명적 노동의 주체와 억압적 역사의 일상이 긍정적 연속성을 획득한 치유의 시간성으로 전이된다. 결국 히니의 역사적 연속성은 민중들의 육체적 노동을 글쓰기라고 하는 정신적 노동과 동일시하는 시적 소재가 된다.

영문 초록

If we assume that the consistent poetics revealed in Seamus Heaney’s poetry is post-colonial writing, then his writing is not only political and social argument, but rather an another expression of existing centralism, deleted marginalization, and regionalism. It is represented as a minority, that is, as a “shadow” of a symbolic concept. This writing and understanding of post-colonial spaces and people operates in a different way from the existing possibilities of post-colonialism. Heaney reproduces the colonial space revealed through the memory as a space for survival of physical labor and as a creative and productive space. In other words, the subject of anonymous labor and the daily life of oppressive history are transferred to poetic material that equates the people’s physical labor with the mental labor of writing.

목차

Ⅰ. 들어가는 글
Ⅱ. 공간과 몸, 그리고 익명성
Ⅲ. 이름 없는 자들에게 『전등불』 켜기
Ⅳ. 나가는 글
Works Cited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민건(Min Gun Kang). (2024).셰이머스 히니 시와 “그늘의 발달”. 한국 예이츠 저널, (), 87-104

MLA

강민건(Min Gun Kang). "셰이머스 히니 시와 “그늘의 발달”." 한국 예이츠 저널, (2024): 87-1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