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절반망막중심정맥폐쇄증: 임상 결과 및 시력 예후 인자

이용수  0

영문명
Hemicentral Retinal Vein Occlusion: Clinical Outcomes and Visual Prognostic Factors
발행기관
대한안과학회
저자명
이동우(Dong Woo Lee) 송도윤(Do Yun Song) 김미지(Mi-Ji Kim) 조용운(Yong Wun Cho) 유웅선(Woong-Sun Yoo) 정인영(In Young Chung)
간행물 정보
『대한안과학회지』volume66,number2, 94~100쪽, 전체 7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1.15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절반망막중심정맥폐쇄증의 임상 결과를 확인하고, 시력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18년 1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절반망막중심정맥폐쇄증을 진단받고 6개월 이상 경과관찰한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들은 망막내 부종이 있는 경우 필요시마다 유리체강 내 주사를 시행하였다. 시력과 중심황반두께, 빛수용체타원체구역 손상 여부, 망막 내층에서 부종의 위치 등을 확인하였고, 6개월 시점의 시력을 기준으로 A군과 B군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 20안을 대상으로 추적 관찰하였고 그 중 15안은 12개월까지 관찰하였다. 대상자 7명(35.0%)이 당뇨를 앓고 있었고 11명(55.0%)에서 고혈압을 앓고 있었다. 6개월 시점의 불량한 시력과 고혈압은 관련성 있음을 보였다(p=0.033). 전체 대상자들의 시력은 초진 시 logMAR 0.96에서 6개월 시점 logMAR 0.35로 호전되었다(p=0.005). 초진 시 좋은 시력을 가진 군은 경과관찰 하는 동안 각 시기별 시력에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p=0.444). 6개월 시점의 좋은 시력을 가진 군은 불량한 시력을 가진 군에 비해 초진 시 빛수용체타원체구역이 정상적인 구조를 보였다(p=0.015). 결론: 절반망막중심정맥폐쇄증 환자들의 추적관찰 시 전반적으로 시력은 호전되었고, 초기 좋은 시력의 가진 경우 꾸준히 좋은 시력을 보였다. 초진 시 정상적인 구조의 빛수용체타원체구역을 가진 경우, 좋은 시력 예후를 추정해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o confirm the clinical features of hemicentral retinal vein occlusion and identify predictors of visual outcomes.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patients diagnosed with hemicentral retinal vein occlusion between January 2018 and December 2022 and followed for more than 6 months. Patients underwent intravitreal injections as necessary for intraretinal edema. Visual acuity, central macular thickness, ellipsoid zone damage, and the location of inner retinal layer edema were assessed. Patients were categorized into groups A and group B based on the visual acuity at 6 months. Results: In total, 20 eyes were followed, with 15 eyes observed for up to 12 months. Seven patients (35.0%) had diabetes and 11 (55.0%) had hypertension.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poor vision at 6 months and hypertension (p = 0.033). The visual acuity of all patients improved from a logMAR of 0.96 at the initial visit to a logMAR of 0.35 at 6 months (p = 0.005). In the group with good initial visual acuity,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visual acuity during the follow-up period (p = 0.444). The group with good visual acuity at 6 months had a lower degree of photoreceptor ellipsoid zone disruption compared to the group with poor initial vision, indicating a normal structure (p = 0.015). Conclusions: During follow-up of patients with hemicentral retinal vein occlusion, overall visual acuity improved over time. Patients with good initial acuity maintained it. Favorable visual outcomes can be expected if the ellipsoid zone has a normal structure at the time of the first examination.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동우(Dong Woo Lee),송도윤(Do Yun Song),김미지(Mi-Ji Kim),조용운(Yong Wun Cho),유웅선(Woong-Sun Yoo),정인영(In Young Chung). (2025).절반망막중심정맥폐쇄증: 임상 결과 및 시력 예후 인자. 대한안과학회지, 66 (2), 94-100

MLA

이동우(Dong Woo Lee),송도윤(Do Yun Song),김미지(Mi-Ji Kim),조용운(Yong Wun Cho),유웅선(Woong-Sun Yoo),정인영(In Young Chung). "절반망막중심정맥폐쇄증: 임상 결과 및 시력 예후 인자." 대한안과학회지, 66.2(2025): 94-1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