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Reconceptualizing Poetry as a Way to Expressive Pedagogy
이용수 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Song-Eun Lee
- 간행물 정보
- 『영어교과교육』23권 4호, 71~9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poetry composition within the context of second language learning, particularly its contribution to fostering expressive pedagogy.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framework, this investigation employs a case study approach, gathering data via the poetic works of a participating twelve-year old ESL student writer and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tudent. The results reveal that, first, poetry writing facilitates emotional engagement for the young writer in that the participant was allowed to choose what to write about and to express thoughts in her voice. Second, poetry writing provides the participant with a receptive audience that enhances enjoyment of the writing process. Third, poetry writing augments the participant’s linguistic awareness in their second language. The study includes thorough textual analyses alongside the findings and proposes pedagog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themes identified, namely “Emotional engagement: My story and my voice,” “Audience: I am a writer,” and “Language development.” Ultimately, the study helps the field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edagogical significance of expressive pedagogy by illustrating how it engages learners emotionally and linguistically in second language writing.
영문 초록
목차
I. INTRODUCTION
II. PREVIOUS RESEARCH
III. RESEARCH METHOD
IV. FINDINGS AND DISCUSSION
V. CONCLUSION AND IMPLICATION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어 학습에서의 AI 활용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 연구
- Repetition and Becoming: A Deleuzian Approach to Underachieving EFL Learners in Korea
- 중학교 영어듣기능력평가 대화문 화행 분석
- A Study of Form-focused Instruction on L2 Academic Vocabulary Learning
- 실용영작문 수업에 나타난 쓰기 전략의 사용과 대학생 학습자 인식에 관한 연구
- Effectiveness of Korean Elementary EFL Learners’ Writing in English through Dynamic Assessment
- 영어교육 위기의 본질과 영어교육계의 정책역량: 수능 영어 절대평가 7년의 명암
- Reconceptualizing Poetry as a Way to Expressive Pedagogy
- Impact of Onset Age and Native-Speaker Input on L2 Phonological Acquisition in Korean EFL Learners
- Exploring Collaborative Summary Writing Strategies and Interaction Patterns Among Korean EFL College Students
- 대학 교양영어 수업에서 실제 자료 활용의 글로벌 역량 함양 효과 분석
- ChatGPT 활용 협력학습을 통한 대학생의 메타화용적 인식 증진
- 전국 중·고등학생 영어듣기능력평가 지문 길이의 타당도 분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