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Special Rules for Education in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 발행기관
- 대한교육법학회
- 저자명
- 김성기(Sungki Kim)
- 간행물 정보
- 『1. 교육법학연구』제36권 제3호, 95~11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특별자치도의 교육특례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제주특별자치도의 교육특례로서 학교규칙의 제·개정, 교직원 정원, 교장·교감 공모, 산학겸임교사 임용, 교육과정 편성, 학년도와 학기, 수업일수, 원격수업과 학교밖활동, 학급편성, 휴업일, 반편성 등, 학년제 외의 운영, 교과용 도서의 사용, 학교운영위원회의 설치 및 구성, 수업연한 등의 특례를 분석하고 부분적으로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자율학교의 학력인정에 관한 조항은 자율학교가 일반학교 중에 지정되는 것임을 고려할 때 삭제되어야 할 조항임을 제시하였다. 특별자치도 교육특례의 과제로서 특별자치도의 고유정책과 특수상황을 전제로 한 특례 발굴, 직원 정원에 관한 특례 규정, 수업 등에 관한 특례 규정 및 후속조치 시행, 기간제 교사 확보를 위한 특례 규정, 학교자치 확대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focused on the special cases of educational operation among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s in education, examine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and suggested improvement tasks.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s special educational exceptions include enactment and revision of school rules, quota for teaching staff, recruitment of principals and vice-principals, appointment of industry-university teachers, organization of curriculum, school year and semester, number of school days, remote classes and out-of-school activities, class organization, closed days, Special cases such as class organization, operation outside of the academic year system, use of textbooks, establishment and organization of school management committee, and class length were analyzed and problems were partially presented.
The provision regarding the recognition of academic background of autonomous schools is a provision that should be deleted considering that autonomous schools are designated among general schools.
As a task for special cases in educational operation, finding special cases under the premise of special policies and special circumstances of the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special regulations on staff quota, special regulations on classes, etc. and implementation of follow-up measures, special regulations on securing fixed-term teachers, schools An extension of autonomy was proposed.
목차
Ⅰ. 서론
Ⅱ. 특별자치도의 교육특례 분석
Ⅲ. 특별자치도 교육 특례의 한계와 과제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I 디지털교과서의 법적ㆍ정책적 쟁점과 과제 분석
- 사립학교법상 대학평의원회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특별자치도의 교육분야 특례 제도 분석
- 학교장의 자체해결제도와 전담기구에 대한 현황과 입법과제
- 독일의 학부모 학교 참여 법제 분석
- 대학 인권센터 조사과정에서피조사자의 절차적 권리에 대한 검토: 헌법상 적법절차원칙을 중심으로
- 초중고교 교원의 교권 판례 비교 분석
- 학부모 교육과 학교참여에 관한 법령 분석과 입법 방안 연구
- 늘봄학교 법제화를 위한 법안 비교 분석 - 초등돌봄 정책 관련 법제화 동향을 중심으로
- 초·중등학교 교원의 생활지도권의 쟁점과 개선 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