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ine Untersuchung der Rechtssysteme im Zusammenhang mit dem Elternbeitrag an der Schule in Deutschland
- 발행기관
- 대한교육법학회
- 저자명
- 박신욱(Shin-Uk Park)
- 간행물 정보
- 『1. 교육법학연구』제36권 제3호, 29~4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학부모 학교 참여 법제의 국제 비교를 위한 연구 중 독일의 법제를 소개하고 분석하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독일은 연방제 국가이며, 교육과 관련된 입법관할은 주(州)에게 있기 때문에 각 주(州)마다 상이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함부르크 합의를 기초로 독일연방 전체의 교육과정 및 제도의 보편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바덴뷔르템베르크(Baden-Württemberg) 주(州)의 공립학교를 중심으로 독일의 학부모 학교 참여 법제에 대해 소개하고 분석하였다. 독일에서는 학부모의 학교 참여의 내용과 한계 그리고 그 방식에 대해 법령으로 비교적 상세하게 규율하고 있다. 특히 학부모회를 통한 학교 참여가 보편화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되며, 이를 통해 학부모 이익의 현실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영문 초록
Dieser Aufsatz wurde verfasst, um das deutsche Rechtssystem für die Beteiligung von Eltern an der Schule vorzustellen und zu analysieren.
Deutschland ist ein föderaler Staat. Darüber hinaus liegt die Gesetzgebungskompetenz im Bildungsbereich nach dem Grundgesetz bei den Ländern, sodass jedes Bundesland unterschiedliche Bildungsgesetze hat. Aufgrund des Hamburger Abkommens kann jedoch davon ausgegangen werden, dass Lehrplan und System bis zu einem gewissen Grad harmonisiert sind. In diesem Aufsatz wurde daher die Art und Weise der Elternbeteiligung an Schulen in Deutschland mit Schwerpunkt auf öffentlichen Schulen im Bundesland Baden-Württemberg vorgestellt und die zugrunde liegenden Gesetze analysiert.
In Deutschland sind Inhalte, Grenzen und Modalitäten der schulischen Mitwirkung der Eltern relativ detailliert gesetzlich geregelt. Insbesondere die schulische Beteiligung durch Elternbeirat gilt als weit verbreitet und dadurch werden die Interessen der Eltern verwirklicht.
목차
Ⅰ. 들어가며
Ⅱ. 교육과 육성의 한 축으로 기능하는 학부모회
Ⅲ. 학부모의 학교 참여를 위한 법적 근거
Ⅳ. 나가며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I 디지털교과서의 법적ㆍ정책적 쟁점과 과제 분석
- 사립학교법상 대학평의원회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 특별자치도의 교육분야 특례 제도 분석
- 학교장의 자체해결제도와 전담기구에 대한 현황과 입법과제
- 독일의 학부모 학교 참여 법제 분석
- 대학 인권센터 조사과정에서피조사자의 절차적 권리에 대한 검토: 헌법상 적법절차원칙을 중심으로
- 초중고교 교원의 교권 판례 비교 분석
- 학부모 교육과 학교참여에 관한 법령 분석과 입법 방안 연구
- 늘봄학교 법제화를 위한 법안 비교 분석 - 초등돌봄 정책 관련 법제화 동향을 중심으로
- 초·중등학교 교원의 생활지도권의 쟁점과 개선 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