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중등학교에서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접근 방법 탐색: 핵심프로젝트 실행을 중심으로

이용수  106

영문명
Exploring Teaching and Learning Approaches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Focusing on the Implementation of Core-Projects
발행기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저자명
조용(Yong Cho) 홍후조(Hoo-Jo Hong)
간행물 정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3호, 67~90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2.15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초·중등학교에서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접근 방법을 탐색하여 역량중심 교육과정으로서 핵심프로젝트 실행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ADDIE 모형, Dick & Carey의 교수체제설계모형, Keller의 ARCS 모형, Voorhees의 역량기반 교육(CBE), Heinich의 ASSURE 모형, Kilpatrick의 프로젝트 방식과 같은 교육 방법의 교육공학적 모형을 활용하여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핵심 요소를 분석하여 적용 방안을 도출하였다. 또한, 역량중심 교육과정에서 핵심프로젝트 실행 방안을 구체화하고, 수업 전개, 동기 유발, 자료 개발, 교사 역할 간의 유기적 관계와 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결과 역량중심 교육과정으로서 핵심프로젝트 실행 방안으로 첫째, 핵심프로젝트의 실행은 과제 설정, 계획, 수행, 평가, 결과 환류 및 지속의 5단계로 진행된다. 둘째, 핵심프로젝트의 실행 모형에는 핵심프로젝트의 실행 단계, 핵심역량, 교육 내용, 평가 방법(도구)을 포함하고 있다. 셋째, 핵심프로젝트 학습 평가 개요는 학습 요소, 성취기준, 성취 수준으로 구조화하여 설계되었다. 넷째, 핵심프로젝트의 학습 평가 모형과 학습 평가 개요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학습 평가 기준이 설계되었다. 결론 첫째, 역량중심 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설계와 실행이 필수적이다. 둘째, 핵심프로젝트 기반 학습은 학습자 참여를 중심으로 하는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지속 가능한 평가와 피드백 체계의 구축이 핵심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실행을 위한 필수 요소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eaching and learning approaches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proposing strategies for implementing core-projects as part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Methods To this end, we analyzed the core elements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and derived application plans by utilizing educational technology models of instructional methods such as ADDIE model, Dick & Carey's Instructional System Design Model, Keller's ARCS model, Voorhees' Competency-Based Education (CBE), Heinich's ASSURE model, and Kilpatrick's project method. In addition, we specified the implementation plan of core projects in competency-based curriculum and discussed the organic relationship among class development, motivation, material development, and teacher roles and their implications. Results As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e core-projects implementation plan is as follows: Firstly, the core-projects implementation is conducted in five stages: task setting, planning, execution, evaluation, result feedback, and continuation. Secondly, the core-projects implementation model includes the core-projects implementation stages, core competency, educational content, and evaluation methods (tools). Thirdly, the core-projects learning assessment outline is designed to be structured into learning elements, achievement criteria, and achievement levels. Fourthly, specific learning assessment criteria are designed based on the core-projects learning assessment model and learning assessment outline. Conclusions Firstly, systematic design and implementation are essential for effectively realizing competency-based curriculum. Secondly, core-projects-based learning is confirmed to be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centered on learner engagement. Thirdly, establishing sustainable evaluation and feedback systems is crucial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core-projects.

목차

Ⅰ. 서론
Ⅱ. 역량중심 교육과정에서 교육 방법의 교육공학적 이론적 탐색
Ⅲ. 역량중심 교육과정으로서 핵심프로젝트 실행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용(Yong Cho),홍후조(Hoo-Jo Hong). (2025).초·중등학교에서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접근 방법 탐색: 핵심프로젝트 실행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 (3), 67-90

MLA

조용(Yong Cho),홍후조(Hoo-Jo Hong). "초·중등학교에서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접근 방법 탐색: 핵심프로젝트 실행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5.3(2025): 67-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