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 밖 청소년 연구 동향: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이용수 113
- 영문명
- Trends in Out-of-School Youth Research: Focusing on keyword network analysi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영옥(Young-ok Lee) 정해미(Hae-mi Jung) 김수빈(Su-been Kim) 박윤미(Yun-mi Par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5권 3호, 401~41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15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통해 ‘학교 밖 청소년’을 주제로 한 국내 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학교 밖 청소년 지원을 위한 연구적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04년부터 2024년 6월까지 한국연구재단 등재 학술지에 게재된 ‘학교 밖 청소년’ 관련 연구를 검색하여 총 300편을 분석 대상 논문으로 선정하고, 논문에 제시된 키워드를 중심으로 빈도 분석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첫째, ‘학교 밖 청소년’ 관련 연구는 2007년 1편을 시작으로, 2014년 학교 밖 청소년 지원에 관한 법률 제정 이후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2020년 이후 급증하였다. 둘째, 키워드 출현 빈도는 ‘진로’가 가장 핵심적인 키워드로 나타났고, 이어 ‘중독’, ‘청소년 비행’, ‘사회적 낙인감’, ‘대안교육’이 주요 키워드로 도출되었다. 셋째, 중심성 분석 결과, 연결중심성이 높은 키워드로는 ‘진로’, ‘부모자녀관계’, ‘자아존중감’, ‘사회적 낙인감’, ‘사회적 지지’, ‘우울’, ‘정서조절’, ‘부모양육태도’, ‘청소년 비행’, ‘프로그램’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학교 밖 청소년 연구의 동향을 체계적 이해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 방향과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는 궁극적으로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한 포용적이고 지원적인 환경 조성에 기여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research directions for supporting out-of-school youth by examining domestic research trends on the topic of ‘out-of-school youth’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Methods To this end, we searched for studies on ‘out-of-school youth’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registered wit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from 2004 to 2024. Jun., selected a total of 300 papers as analysis subjects, and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centered on keywords presented in the papers.
Results First, research on ‘out-of-school youth’ began with the first article in 2007, and has steadily increased since the enactment of the Act on Support for Out-of-School Youth in 2014, and has rapidly increased since 2020. Second, in terms of keyword appearance frequency, ‘career’ was the most important keyword, followed by ‘addiction’, ‘juvenile delinquency’, ‘social stigma’, and ‘alternative education’. Third, as a result of centrality analysis, keywords with high degree of connection centrality were identified as ‘career’, ‘parent-child relationship’, ‘self-esteem’, ‘social stigma’, ‘social support’, ‘depression’, ‘emotional regulation’, ‘parental parenting attitude’, ‘juvenile delinquency’, and ‘program’.
Conclusions This study systematically understands the trends of out-of-school youth research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sugges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policy implications. This will ultimately contribute to creating an inclusive and supportive environment for out-of-school yout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등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스마트폰 과의존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과 그릿의 매개효과
-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정서 표현성이 놀이 참여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유아 성별에 따른 놀이성 군집별 자아탄력성 차이 분석
- 초·중등학교에서 역량중심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접근 방법 탐색: 핵심프로젝트 실행을 중심으로
- 진로연계 인성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생 진로 태도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생의 예체능 사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포스트휴먼 생태주의에 기반한 초등 음악 수업 방안 탐색
- 확장학습이론을 통한 개념 학습의 이해와 설계 전략
- 간호대학생의 마인드 맵을 활용한 학습법이 자기주도학습과 학습동기전략에 미치는 효과
- 특수학교 진로전담교사의 교수역량 강화 방안: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중심으로
- 초기성인기 미혼 남녀의 자기불일치가 이성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와 자기침묵의 이중매개효과
- 팀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의 교수신뢰, 수업참여도, 학습동기의 변화
- 암 요양병원 통합의료를 통한 여성 암환자의 치유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근접발달영역(ZPD) 이론에 근거한 경험식 교수법이 아동 초보 학습자의 학습 참여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 분석: Faber 「My First」 교본을 중심으로
- 마음챙김과 회복탄력성이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대학생의 경제적 제약과 일 자유의지, 진로 관여 행동의 관계: 외부 고용 가능성 인식의 조절 효과
- 보육교사의 그림책 읽기 공동체 참여 경험의 의미
- 대학생 현장실습능력 강화를 위한 메타버스 활용 수업모형 개발
- AI 디지털교과서가 수업에 미칠 변화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유형 분석
-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성인 내담자의 온라인 진로상담 호소문제 분석: 커리어넷 온라인 진로상담 사례를 중심으로
- 대안적 수업연구에 대한 비교 연구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공식화, 상사의 지지와 팀 지향성과 직무긴장 간의 관계에서 역할갈등과 역할모호성의 매개효과
- 한국어의 양태 어미와 다단어 표현의 관계: 체계기능언어학의 양태 은유의 관점에서
- 학교 밖 청소년 연구 동향: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프랑스어권 학습자 토픽 I 준비를 위한 LMS 기반의 적응형 학습 모형 개발: 프랑스 르아브르 학습자 대상 실제 사례
- 워킹맘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우울의 관계: 마음챙김으로 조절된 일-가정 갈등의 매개효과
- 스트레스가 자살위험성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매개효과
- 융합교육 맥락에서 대학생의 사회적 상호의존성 및 학제간 이해 탐색
- 저소득층 대학생의 경제적 자립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참여관찰일지에 나타난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배움
- 은둔형 외톨이 상담 사례: 심리적 기제와 효과적인 전략 및 그 성과에 대한 주제 분석
- ADHD 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부모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미래 유망 직업 VR 디자이너 진로 체험 프로그램 개발
- 초등학교 고학년을 위한 긍정심리기반 학업지연행동 극복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 중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함양을 위한 PBL 기반 수송 기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변증법적 행동치료 집단프로그램이 여자 중학생의 정서조절곤란, 마음챙김, 고통감내력에 미치는 영향
- The development of Teacher identity based on Four Teacher Self-Efficacy sources
- 자기성장 집단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강화 프로그램을 통한 발달장애성인의 자립생활능력 변화 과정
- 전공자율선택제에 대한 요구도 및 우선순위분석: A대학 구성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 대학의 사회·경제적 영향력 측정 방안 연구: H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요구-통제-지지 모형의 학업소진에의 적용: 대학생 학업소진의 보호 요인 탐색
- 경계선지능 아동의 자기표현과 긍정적 또래관계 경험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 Crafting an Expatriate Teacher Identity: A Narrative Inquiry of an International Professor
- 간호대학생의 메타버스 플랫폼 기반 욕창 방문간호 교육의 효과 검증: 립모션과 햅틱 디바이스 활용
- 어머니의 과보호 양육태도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매개효과
- 종합병원 중환자실의 환자안전사고 위해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대학 통폐합과 재구조화 사례 분석과 방향성 검토
- 스트레스 연구동향 논문에 관한 체계적 분석: 2000-2023년 학술지를 중심으로
- 관심중심수용모형(CBAM)에 기반한 직업계고 교사의 교사 전문성에 대한 관심도 분석
- 중년여성의 자기분화와 대인관계능력 간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
- 슈퍼바이지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자기개방, 지각된 슈퍼바이저 진정성이 슈퍼비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상담자의 외상상담 경험과 공감이 대리외상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정서적·태도적 공감의 차별적 효과와 군집 간 차이
- 한국 청소년의 케이팝 아이돌에 대한 진로인식과 직업선망
-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성취압력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율성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수동적 SNS 사용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비교와 마음챙김의 이중매개효과
- 지방대학 입학전형 개선방향에 대한 현장교사 인식 분석: 지방 C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노인의 파크골프 운동참여가 낙상효능감과 균형 및 보행에 미치는 영향
- ‘학생 맞춤형 수업’의 의미 탐색: 2015·2022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중등 STEAM 교육의 연구 동향(2012~2023)
- 학부모가 인식하는 보육교사의 언어와 비언어적 요소가 신뢰도, 전문성 및 호감도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의 정신건강과 일상활동의 관계
- 간호대학생의 월경전증후군, 지각된 스트레스, 심리적 안녕감이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 고립·은둔 청년의 외로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3호 목차
-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개발역량 잠재프로파일 분석: 영향요인 탐색과 학업적 자기효능감·학습동기· 만족도 차이 검증
참고문헌
- 청소년학연구
-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청소년복지연구
- 청소년학연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청소년학연구
- 한국청소년연구
- 상담학연구
- 청소년담연구
- 미래청소년학회지
- 상담교육연구
-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한양법학
- 청소년상담연구
- 교육심리연구
- 한국방송학보
- 한국청소년연구
- 법교육연구
- 한국청소년활동연구
- 교육심리연구
- 상담교육연구
- 미래청소년학회지
-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 진로교육연구
- 한국교육
- 중등교육연구
- 서울: 논형
- 청소년학연구
- 충북: 한국교육개발원
- 진로교육 연구
- 교육과학연구 백록논총
- 상담학 연구
- 한국아동학
- 인문사회21
-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청소년정책분석평가센터
- Journal of Law-Related Education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Physical Review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유아의 놀이 속 도덕적 체험 의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예비영유아교사가 지각하는 아버지에 대한 양육태도 인식과 효의식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대학생의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따른 정신건강 양상의 차이 분석: 잠재프로파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