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기도 에너지 전환 정책의 확산에 관한 연구: 기초자치단체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 조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24
- 영문명
- A Study on the Diffusion of Energy Transition Policies in Gyeonggi-do: Focusing on the Green Building Support Ordinances of Basic Local Governments
- 발행기관
- 경인행정학회
- 저자명
- 홍성준(Seong Joon Hong)
- 간행물 정보
- 『한국정책연구』제24권 제4호, 211~23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에너지 전환 정책과 관련하여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 조례를 대상으로 정책 확산의 발생과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경기도 31개 기초자치단체를 대상으로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 조례의 확산 유형 및 제정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이산시간 사건사 패널로짓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경기도의 정책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접한 지방자치단체의 조례제정 여부가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조례제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단체장과 지방의회 다수당의 일치여부인 행정 요인과 에너지 예산의 경제 요인, 인구수 등의 사회 요인에 영향을 받고 있었으며, 특히 지방자치단체의 구조적 환경과 상위정부의 강력한 추진계획에 영향을 받아 조례 제정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 정책의 정책확산 영향요인에 있어 기존의 정책 확산 요인과 더불어 기초자치단체의 구조적 환경과 광역자치단체의 영향력이 정책 확산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occurrence and influencing factors of policy diffusion, focusing on ordinances supporting the creation of green buildings in the context of energy transition policies. For this purpose, the study examined the diffusion patterns and enactment status of green building ordinances across 31 basic local governments in Gyeonggi-do, utilizing discrete-time event history panel logit analysis. The analysis revealed that a key factor influencing policy diffusion in Gyeonggi-do is whether neighboring local governments have enacted similar ordinances, which significantly affects the likelihood of ordinance adoption in a given local government. Additionally, administrative factors, such as the alignment between the head of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majority party in the local council, economic factors, such as the energy budget, and social factors, such as population size,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influences. Notably, the structural environment of local governments and the strong initiatives of higher-level governments were found to significantly accelerate the enactment of ordinances. The findings confirm that, in addition to traditional factors of policy diffusion, the structural environment of basic local governments and the influence of metropolitan governments play a critical role in policy diffusion, highlighting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목차
Ⅰ. 서론
Ⅱ. 제도적 논의 및 이론적 검토
Ⅲ. 연구설계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공공가치실패 가능성 진단과 대안 - 미국과 한국의 GMO 정책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 문화도시 구축을 위한 기초자치단체의 문화정책 변화과정 분석: 부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 기초자치단체의 현금성 사회보장급여 예산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동적공간패널회귀모형을 중심으로
- 경기도민의 지역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 경기도 북부와 남부 지역의 비교를 중심으로
- 이주노동자의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외국인 노동자 혹은 지역주민?
- 원자력 관련 교육이 태도변화에 미치는 효과성에 대한 실증분석: 사전-사후 통제집단 비교실험법의 적용
- 광역-기초자치단체 간 시·도비 보조금 운영 개선방안: 델파이조사를 통한 전문가 인식을 중심으로
- 조직의 제도적, 행위적 요인이 조직협력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
- 한국 지방정부 친화도시 사업의 정책조정 수준 진단: Peters의 정책조정유형론을 중심으로
- 경기도 에너지 전환 정책의 확산에 관한 연구: 기초자치단체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 조례를 중심으로
- 청년세대 노동시장 성과에 대한 다차원적 분석: 수도권과 비수도권 대학 졸업생 비교를 중심으로
- 지방자치단체 재정여건이 이전재원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착한가격업소 지원제도 성과와 발전 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