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율곡의 회재 비판에 대한 재론(2) - 「대학보유후의」 후반부를 중심으로

이용수  14

영문명
A review of Yulgok’s criticism of Hoejae(2)
발행기관
한국동양철학회
저자명
임용균(Yong-Gyun LIM)
간행물 정보
『동양철학』第62輯, 205~232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회재 이언적(1491~1553)에 대한 율곡 이이(1536~1584)의 비판을 「대학보유후의」 후반부의 내용 안에서 집중 조명한다. 「대학보유후의」 후반부는 회재의 ‘격물치지설’·‘인설’에 대한 율곡의 비판이 핵심적으로 드러난다. 이 가운데 ‘격물치지설’에 있어서는 기존 연구 상당수가 언뜻 율곡의 입장과 닮아있는 듯하나, 본고는 다른 시각으로 접근하여 그에 대한 재해석을 시도한다. 또 ‘인설’에 있어서는 『속대학혹문』과 「대학보유후의」에 있는 두 인물의 언술을 총체적으로 검토하여 견주었다. 이를 통해 두 사람의 차이는 사상적 입장의 대립이나 갈등이기보다는 실상 용어의 차이에 가깝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예컨대 ‘본말종시’를 이해하는 방식이 회재는 ‘리’를 내포한 논리구조로 접근한 반면, 율곡은 그것을 ‘표리정조’ 정도의 의미로 간주하고 ‘리’를 내포한 용어(소당연, 소이연)와는 구분하고 있는 점이다. 그러나 두 인물 모두 자신의 이론적 근거를 주자에게 두고 있는 것은 동일하다. 따라서 기존 연구에서는 회재의 『대학장구』 개정 행위를 ‘주창’으로 보아왔으나, 논자는 이를 새로운 주창이 아니라 ‘보충’에 충실한 행위였다고 보았다. 본고를 통해 회재에 대한 균형적 이해의 계기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focuses on Yulgok Yi I’s(1536~1584) criticism of Hoejae Yi Eon-jeok(1491~1553) in the latter half of “Hoejaedaehakboyuhuui” 晦齋大學補遺後議. Yulgok, a figure who was active after Hoejae’s death, consistently maintained a critical tone toward Hoejae in various writings. “Hoejaedaehakboyuhuui” is a text written in 1581, three years before Yulgok’s death. Therefore, there is no material that directly rebuts Hoejae’s criticism of Yulgok. However, it is fully possible to respond to Yulgok’s criticism because there are works left behind by Hoejae during his lifetime. The core of the second half of “Hoejaedaehakboyuhuui” is Yulgok’s criticism of Hoejae’s remarks regarding “investigation of thing” (格物致知) and “in” 仁. Hoejae’s theory of “Investigation of thing” has been the subject of numerous studies, leading to the formation of a substantial body of discourse. However, research on Hoejae’s concept of “in” remains relatively undeveloped. Regarding the former, this paper seeks to reinterpret Hoejae’s “investigation of thing” from a perspective distinct from existing discourses which share similarities to Yulgok’s position. And regarding the latter, it summarizes and compares the positions of the two figures concerning “in” as comprehensively as possible. Through this process, the limitations of Yulgok’s criticism of Hoejae have been identified.

목차

Ⅰ. 서론
Ⅱ. 「대학보유후의」 제3단락의 비판과 쟁점 : 「지지」·「물유」절을 격물치지장으로 삼을 수 있는가의 문제와 회재의 ‘본말종시’
Ⅲ. 「대학보유후의」 제4단락의 비판과 쟁점 : ‘인’은 치국평천하의 근본이 될 수 있는가?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용균(Yong-Gyun LIM). (2024).율곡의 회재 비판에 대한 재론(2) - 「대학보유후의」 후반부를 중심으로. 동양철학, (), 205-232

MLA

임용균(Yong-Gyun LIM). "율곡의 회재 비판에 대한 재론(2) - 「대학보유후의」 후반부를 중심으로." 동양철학, (2024): 205-2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