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진일재 유숭조의 심성론
이용수 19
- 영문명
- Yu Sung-jo’s Theory of Heart-Mind and Nature
- 발행기관
- 한국동양철학회
- 저자명
- 전병욱(Byoungok Jeon)
- 간행물 정보
- 『동양철학』第62輯, 177~20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眞一齋 柳崇祖의 『大學箴』은 陽村 權近의 『入學圖說』로부터 큰 영향을 받았고, 그의 『性理淵源撮要』는 林隱 程復心의 『四書章圖』 등을 활용하였다. 朱子學에서는 ‘心’이 공시적으로는 理와 氣로 구성되어 있고 통시적으로는 性과 情을 아우른다고 설명한다. 진일재는 사람의 心만이 가진 특징을 특별히 明德이라고 부르는 주자의 관점을 계승하였다. 心이 性(理)과 氣質(氣)로 이루어졌다고 할 때 사람의 명덕을 이루는 그 기질에는 다른 생명체와는 구별되는 고유의 공통성이 존재한다. 사람 사이에 기질은 차이도 있어서 명덕의 상태가 동일하지는 않지만 명덕이라는 점에서 동일하다. 그는 나아가 성을 本然之性과 氣質之性으로 나누는 관점을 부각시켜 四端의 근원을 본연지성으로 보고 七情의 뿌리를 기질지성으로 보는 관점을 형성하였다. 그는 사단과 칠정을 모두 理와 氣를 결합한 방식으로 설명하기도 하였다. 진일재의 학문체계는 성균관 교육을 통해 후세에 주자학의 상식적 관점을 형성하는 데 큰 기여를 하였고 退溪의 사단칠정론에 일정한 영향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Yu Sung-jo’s Daehakjam was greatly influenced by Kwon-Geun’s Iphak doseol, and his Seongli yeonwon chwaryo actively utilized Cheng Fuxin’s Sishu zhangtu, etc. In Zhuzi, the heart-mind is synchronically explained to be composed of li and qi and diachronically encompasses xing and qing. Yu Sung-jo understood heart-mind in the perspective of mingde 明德 as a whole, meaning that the heart-mind in reality is only a state that has not fully maintained its mingde, and its essence is the same as mingde. All living beings have heart-mind, b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mind are specifically called mingde. The heaven is composed of li and qi, and all things created by the heaven is originally composed of the same li and qi, and among them, the heart-mind of human is more clever than any other, and xuling bumei 虛靈不昧 that only human possesses is called mingde, which is also called benxin. When it is said that the heart-mind is composed of xing and qizhi, there is an inherent commonality in the disposition that constitutes human’s mingde that distinguishes it from other living beings. However, qizhi of each person is different, and thus the state of mingde varies greatly. Yu Sung-jo emphasized the view of dividing xing into benranzhixing 本然之性 and qizhizhixing 氣質之性, and established the theory that the origin of the Four Sprouts is benranzhixing and the origin of the Seven Emotions is qizhizhixing. Yu Sung-jo also established a way of explaining both the Four Sprouts and the Seven Emotions in a way that combines li and qi. Yu Sung-jo’s academic system contributed greatly to shaping the common sense view of Zhuzi in later generations through the education at Sungkyunkwan, and may have had some influence on Toegye’s theory of Four Sprouts and Seven Emotions.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명덕: 심인가, 성인가?
Ⅲ. 本然之性과 氣質之性
Ⅳ. 사단과 칠정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율곡의 회재 비판에 대한 재론(2) - 「대학보유후의」 후반부를 중심으로
- 진일재 유숭조의 심성론
- 瞽瞍의 폭력과 舜의 원망 - 유교 담론에서 친족 폭력의 정당화 구조 검토
- 『공손룡자』의 위작 여부 연구 - 직하학파와 오행 사상을 중심으로
- 유가 전통의 義利之辯과 報 - 도덕 원칙과 덕성의 새로운 해석
- 주희 초기 수양론 연구 - 무인년 忠恕 논변을 중심으로
- 鄭道傳의 異端 비판과 조선 건국의 정당성 논의
- 조선후기 復讎論 연구 - 正祖 시기 복수사건과 판결을 중심으로
- 주역과 정역, 그리고 천문역법적 사유에서 바라본 학산 이정호의 訓民正音 ‘天文圖’ 고찰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