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부 성인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구강노쇠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이용수 191
- 영문명
-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Oral Frailty in Some Adults
- 발행기관
- 한국구강보건과학회
- 저자명
- 이민경(Min-Kyung Lee) 박민경(Min-Kyoung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구강보건과학회지』제12권 제5호, 47~57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기타의약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some adults'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the six items of oral frailty, and to identify the oral health factors that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oral frailty.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9 to November 1, 2024, targeting 193 adults aged 20 or older. We analyz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health and dietary management behaviors, oral management behaviors,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wareness of oral aging, improvement in oral aging, and 6 oral aging items.
Results: The oral senescence progression rate was highest in participants in the 60s at 2.04 points, followed by 1.61, 1.53, 1.52, and 1.49 points in those in the 50s, 20s, 40s, and 30s, respectively;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4). Factors linked to a higher progression of oral aging included a lower number of residual teeth (β=-0.263, p<0.001), frequent chewing problems (β=0.214, p<0.009), and frequent oral dryness (β=0.202, p=0.016).
Conclusions: Poor subjective oral health, low number of residual teeth, chewing problems, sensitivity to hot and cold foods, history of gum disease, and oral drynes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er progression of oral frailty. Moreover, low residual teeth, chewing problems, and oral dryness strongly influence the progression of oral frailty.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치석 제거 동작 시 팔의 근활성도 분석 및 신체조건과의 관련성
- 일부 성인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구강노쇠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 치과위생사의 업무협력과 긍정적 심리자본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 네팔 일부지역 아동들의 구강건강행태 및 구강상태에 관한 조사
- 정신건강과 구강건강의 관계에서 폭음과 흡연의 매개효과: 2022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자료를 활용한 단면조사연구
- 한국구강보건과학회지 제12권 제5호 목차
- 치과위생사의 노인·장애인 구강건강관리 중재 활동을 위한 매뉴얼: 시설방문 시범사업 사례 중심으로
- 캡스톤디자인 경진대회에서 교수자와 팀워크 요소가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International Journal of Dentistry
- J Can Dent Assoc
- The Journals of Gerontology
-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 Behavior Research Methods
- National Assembly Budget Office
-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ral Health Science
- Dailydental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ral Health Science
- J Am Geriatr Soc
- J Dent Hyg Sci
관련논문
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기타의약학분야 NEW
- 메리 세트라키안Mary Setrakian의 SING, FIND YOUR TRUE VOICE에서 제시하고 있는 ‘호흡법’에 관한 고찰 -연극치료의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 『잘자요, 엄마』의 장르 특성에 따른 크로노토프 형성 과정 연구
- A.R. Gurney의 <러브레터> 연구 -자크 라깡의 정신분석론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