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알코올 사용 환자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재발경고 증상간의 관계 - 분노억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11
- 영문명
- Mediating Effect of Anger-In Coping Style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Warning Symptoms of Relapse in Alcoholics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김해숙(Haesook Kim) 최윤희(Yunhee Choi)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20 No.7, 135~144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광역시 알코올전문병원에서 입원 치료중인 알코올 사용 환자를 대상(n=238)으로 지각된 스트레스와 알코올 재발 경고 증상간의 관계에 분노억제가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통해 알코올 재발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이해하고, 적절한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3년 1월부터 3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t-검증, 변량분석, pearson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과 같은 통계적 분석 방법을 사용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매개 변수를 통한 간접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을 하였다. 연구 결과, 알코올 사용 환자의 지각된 스트레스, 분노억제, 재발경고증상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알코올 사용 환자의 지각된스트레스와 재발경고증상간의 관계를 분노억제가 부분 매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근거해 알코올사용 환자의 재발을 막기 위한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warning symptoms of relapse in alcohol-using patients undergoing inpatient treatment at a metropolitan alcohol treatment hospital, and to determine how anger-in coping style influences this relationship. The aim was to understand the variables influencing warning symptoms of relapse in alcoholics and to explore appropriate intervention measures.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onducted from January to March 2023,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methods such as t-tests, analysis of varianc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ootstrap was performe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s through the mediator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erceived stress, anger-in coping style, and relapse warning symptoms among alcoholics. Moreover, anger-in coping styl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relapse warning symptoms in alcoholics.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suggestions were made for preventing relapse among alcoholic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비판적 사고성향 및 의사소통능력이 환자안전역량에 미치는 영향
- 머신러닝을 이용한 삼척 오십천 유역의 홍수유출모의
- 학대피해노인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실태 - 인구학적 요인분석을 중심으로
- 간호대학생의 PA간호사제도 합법화에 대한 인식조사
- 수문지형학적 분석에 의한 세천 취약성 분석
- 시뮬레이션 기반 응급상황 대처에 대한 교육요구도 조사 학령전기 아동어머니를 대상으로
- 알코올 사용 환자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재발경고 증상간의 관계 - 분노억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국방위기에 대비한 군무원 인력관리 발전방향 - 육군 군무원 이직의도 분석을 중심으로
- 아동 청소년을 위한 한국판 우울 평가 도구(K-PHQ-9A) 타당화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제20권 제7호 목차
- 세월호 참사 연구동향과 문헌고찰
- 보행자 사고 위험의 공간적 격차 식별을 위한 베이지안 모형 개발 - 대전광역시 소규모 행정 구역별 상대위험도 변화에 중점을 두고
- 노인의 죽음불안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유대감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Korea
-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 Issues in Mental Health Nursing
- Psychiatry Investigation
-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 Ph.D. Dissertation
-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diction Psychiatry
- Journal of Future Oriented Youth Society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 Health Psychology: Individual Differences and Stress
-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 Mental Health and Social Work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제21권 제1호 목차
- 건강 신념 모델이 코로나19 백신 정책 순응에 미치는 영향 분석 미디어 유형별 신뢰도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 부모의 주말근무와 초등학교 고학년 자녀의 학습 및 여가시간: 시간일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