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인의 죽음불안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유대감의 매개효과
이용수 35
- 영문명
- Mediation Effect of Social Connectedness between Death Anxiety and Ego Integrity among Elderly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김윤영(Yunyou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20 No.7, 79~9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죽음불안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노인의 불안과 자아통합감과의관계에서 사회적 유대감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A시와 Y군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지역주민을 대상으로 2023년 09월부터 11월까지 자료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중 290부를 SPSS 28.0 Statistics Program을 이용하여 다중 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하였다. 연구결과 죽음불안은자아통합감. 사회적 유대감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자아통합감은 사회적 유대감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노인의 불안과 자아통합감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유대감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31%였다. 노년기 죽음불안에서 벗어나 죽음을 자신의 삶의 일부로 수용하고노인의 발달과업인 자아통합감을 올바르게 형성하기 위해 사회적 유대감 향상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다양한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death anxiety on ego integrity among the elderly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nnected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ego integrity. Data were collected from residents aged 60 and above living in City A and County Y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23. Out of the collected data, 290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8.0 Statistics Program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revealed that death anxiety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both ego integrity and social connectedness, while ego integrit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connectedness. Furthermore, social connectedness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ego integrity, with the model explaining 31% of the variance. The study concludes that to help the elderly move beyond death anxiety, accept death as a part of life, and correctly form ego integrity a developmental task in old age improvements in social connectedness are necessary,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supportive program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찰
Ⅴ. 결론 및 제언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비판적 사고성향 및 의사소통능력이 환자안전역량에 미치는 영향
- 머신러닝을 이용한 삼척 오십천 유역의 홍수유출모의
- 학대피해노인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실태 - 인구학적 요인분석을 중심으로
- 간호대학생의 PA간호사제도 합법화에 대한 인식조사
- 수문지형학적 분석에 의한 세천 취약성 분석
- 시뮬레이션 기반 응급상황 대처에 대한 교육요구도 조사 학령전기 아동어머니를 대상으로
- 알코올 사용 환자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재발경고 증상간의 관계 - 분노억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국방위기에 대비한 군무원 인력관리 발전방향 - 육군 군무원 이직의도 분석을 중심으로
- 아동 청소년을 위한 한국판 우울 평가 도구(K-PHQ-9A) 타당화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제20권 제7호 목차
- 세월호 참사 연구동향과 문헌고찰
- 보행자 사고 위험의 공간적 격차 식별을 위한 베이지안 모형 개발 - 대전광역시 소규모 행정 구역별 상대위험도 변화에 중점을 두고
- 노인의 죽음불안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유대감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 Norton
- Behavior Research Methods
-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 Routledge
-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Wellness
-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Journal of Family Relations
- Death Studies
-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 Journal of General Psychology
- Journal of Gerontology
-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 Korean Aging Friendly Industry Association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제21권 제1호 목차
- 건강 신념 모델이 코로나19 백신 정책 순응에 미치는 영향 분석 미디어 유형별 신뢰도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 부모의 주말근무와 초등학교 고학년 자녀의 학습 및 여가시간: 시간일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