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수문지형학적 분석에 의한 세천 취약성 분석
이용수 4
- 영문명
- Hydrological and Geomorphological Vulnerability Analysis of Creek Watersheds to Flash Flood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최창호(Changho Choi) 이승수(Sungsu Lee) 이슬기(Seulgi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20 No.7, 25~3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홍수 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청주시 미원면의 소하천 유역에 있는 72개 세천의 수문및 지형학적 취약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먼저 각 세천에 대해 하천 길이, 유출곡선 수, 표고차, 평균경사, 농경지 면적 등의 선정된 수문 및 지형학적 요인 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최종 영향 변수는 공선성분석을 기반으로 상호 독립적인 요인을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영향 변수들과 홍수피해 규모의 상관성평가를 위해 영향 변수들을 정규화하고 유클리드 거리 기반 공식을 이용하여 HGCV(Hydrological and Geomorphological Creek Vulnerability)를 산출하여 5등급으로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 홍수피해 고위험군인1등급은 HGCV가 1.5~1.98 범위에 속하는 반면, 저위험군인 5등급은 HGCV가 0.66~0.85 범위에 속하는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등급과 2등급의 합산 피해 규모가 전체 피해 규모의 2/3를 차지하는 것으로나타났다. 따라서 홍수예방을 위한 효율적 대책으로 HGCV를 기준으로 1등급(1.5-1.98) 및 2등급 하천을우선적으로 정비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orrelation among selected influencing variables such as stream length, runoff curve number, elevation difference, average slope, and agricultural land area within 72 creeks in the watershed of small streams in Miwon-myeon, Cheongju City, from a microscopic perspectiv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ected variables of the creeks and the scale of flood damage, we normalized the variables and calculated HGCV(Hydrological and Geomorphological Creek Vulnerability) using a formula based on Euclidean distance, classifying them into five grades.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high-risk group of flood damage, Grade 1, falls within the range of HGCV from 1.5 to 1.98, while the low-risk group, Grade 5, falls within the range of HGCV from 0.66 to 0.85. Furthermore, the combined scale of damage for Grade 1 and Grade 2 accounted for two-thirds of the total damage scale. Therefore, as an efficient measure for flood prevention, we propose prioritizing the maintenance of Grade 1(1.5-1.98), and Grade 2 creeks, determined based on their HGCVs.
목차
Ⅰ. 서론
Ⅱ. 청주시 지역별 강우량과 수해 피해 비교
Ⅲ. 세천 현황 및 관련법
Ⅳ. 공간정보분석 기반 세천 유역분석
Ⅴ. 세천 취약성 분석
Ⅵ. 2023년도 수해 피해를 이용한 수문지형학적 세천 취약성 검증
Ⅶ.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비판적 사고성향 및 의사소통능력이 환자안전역량에 미치는 영향
- 머신러닝을 이용한 삼척 오십천 유역의 홍수유출모의
- 학대피해노인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실태 - 인구학적 요인분석을 중심으로
- 간호대학생의 PA간호사제도 합법화에 대한 인식조사
- 수문지형학적 분석에 의한 세천 취약성 분석
- 시뮬레이션 기반 응급상황 대처에 대한 교육요구도 조사 학령전기 아동어머니를 대상으로
- 알코올 사용 환자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재발경고 증상간의 관계 - 분노억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국방위기에 대비한 군무원 인력관리 발전방향 - 육군 군무원 이직의도 분석을 중심으로
- 아동 청소년을 위한 한국판 우울 평가 도구(K-PHQ-9A) 타당화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제20권 제7호 목차
- 세월호 참사 연구동향과 문헌고찰
- 보행자 사고 위험의 공간적 격차 식별을 위한 베이지안 모형 개발 - 대전광역시 소규모 행정 구역별 상대위험도 변화에 중점을 두고
- 노인의 죽음불안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유대감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제21권 제1호 목차
- 건강 신념 모델이 코로나19 백신 정책 순응에 미치는 영향 분석 미디어 유형별 신뢰도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 부모의 주말근무와 초등학교 고학년 자녀의 학습 및 여가시간: 시간일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