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간호대학생의 PA간호사제도 합법화에 대한 인식조사
이용수 101
- 영문명
- A Study on Nursing Students' Perception of the Legalization of the PA Nurse System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박민향(Min Hyang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20 No.7, 93~103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 PA간호사 제도 합법화에 대한 간호대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역할과 요구, 법적지위, 제도적 문제라는 세 가지 주요 주제를 파악하였다. PA간호사는 의료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의료서비스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모호한 정체성으로 인한 역할 갈등을 방지하려면 역할과 책임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필요하다. 법적 명확성이 부족하여 PA간호사의 성과가 제한되며법적 보호와 명확한 상태 정의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이 연구는 미국, 영국, 캐나다의 성공적인 PA모델을한국 상황에 맞게 적용할 것을 제안한다. 권고사항으로는 법규정 제정, 이론과 실무를 결합한 종합교육프로그램 개발, 인증제도 시행 등이 있다. PA간호사로서의 자격을 공식적으로 인정하기 위해 국가자격시험을 실시한다. 간호사를 한국 의료 시스템에 효과적으로 통합하려면 정부 차원의 제도적 지원이중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nursing students' perceptions of the legalization of the PA nurse system in Korea, identifying three main themes: roles and demands, legal status, and institutional issues. PA nurses are highlighted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medical staff shortages and a means to improve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s. To prevent role conflicts due to ambiguous identity, there is a need for a clear definition of roles and responsibilities. The lack of legal clarity limits the performance of PA nurses and emphasizes the need for legal protection and clear status definition. This study suggests applying successful PA models from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Canada to the Korean context. Recommendations include the establishment of legal regulations, the development of comprehensive education programs combining theory and practice, and the implementation of a certification system. Government-level institutional support is crucial for effectively integrating PA nurses into the Korean healthcare system.
목차
Ⅰ. 서론
Ⅱ. PA제도에 대한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비판적 사고성향 및 의사소통능력이 환자안전역량에 미치는 영향
- 머신러닝을 이용한 삼척 오십천 유역의 홍수유출모의
- 학대피해노인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실태 - 인구학적 요인분석을 중심으로
- 간호대학생의 PA간호사제도 합법화에 대한 인식조사
- 수문지형학적 분석에 의한 세천 취약성 분석
- 시뮬레이션 기반 응급상황 대처에 대한 교육요구도 조사 학령전기 아동어머니를 대상으로
- 알코올 사용 환자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재발경고 증상간의 관계 - 분노억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국방위기에 대비한 군무원 인력관리 발전방향 - 육군 군무원 이직의도 분석을 중심으로
- 아동 청소년을 위한 한국판 우울 평가 도구(K-PHQ-9A) 타당화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제20권 제7호 목차
- 세월호 참사 연구동향과 문헌고찰
- 보행자 사고 위험의 공간적 격차 식별을 위한 베이지안 모형 개발 - 대전광역시 소규모 행정 구역별 상대위험도 변화에 중점을 두고
- 노인의 죽음불안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유대감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제21권 제1호 목차
- 건강 신념 모델이 코로나19 백신 정책 순응에 미치는 영향 분석 미디어 유형별 신뢰도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 부모의 주말근무와 초등학교 고학년 자녀의 학습 및 여가시간: 시간일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