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방위기에 대비한 군무원 인력관리 발전방향 - 육군 군무원 이직의도 분석을 중심으로
이용수 15
- 영문명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efense Civilian Personnel Management Strategies for Defense Crisis Preparedness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Turnover Intentions among Defense Civilian Personnel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신상범(Sang Bum Shin)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20 No.7, 65~7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인구감소로 인해 병역자원이 급감하고 있다. 병역자원 감소는 국가 안보의 큰 위협요인이며, 선제적대비가 시급한 상황이다. 국방부는 2019년부터 군무원을 대규모로 증원하였다. 군무원 역할은 확대되고있으며, 군무원 인력관리는 중요 의제가 되고 있다. 군무원에 대한 기대는 커지는데 군무원의 이직이늘고 있어 문제다. 본 연구는 군무원의 이직이 왜 발생하고 어떻게 줄일 수 있을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가 인터뷰 및 군무원 62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근무조건에대한 불만이 클수록, 차별대우가 심할수록 이직의도가 높았으며, 인사제도에 만족할수록 현역과의 관계가 좋을수록 이직의도는 낮았다. 한편, 차별대우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인사제도는 부정적영향을 완화시키지 못하는 반면 신뢰관계는 부정적 영향을 완화시켰다. 군무원이 차별받는다는 인식은시급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영문 초록
Military service resources are falling sharply due to the population decline. The decrease in military service resources is a great threat to national security, and preemptive preparation is urgent.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has increased the number of civilian personnel on a large scale since 2019. The role of defense civilian personnel is expanding, and manpower management of civilian personnel is becoming an important agenda.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why the turnover of civilian personnel occurs and how it can be reduced.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621 expert interviews and civilian personnel.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greater the dissatisfaction with the working conditions and the more severe the discrimination, the higher the turnover intention. And the better the relationship with the active duty, the lower the turnover intention. On the other hand, discrimination affects turnover intention, but the personnel system does not alleviate the negative impact, while trust relations have alleviated the negative impact.
목차
Ⅰ. 서론
Ⅱ. 군무원의 개념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의 설정
Ⅳ. 연구설계
Ⅴ. 분석결과
Ⅵ. 결론 및 정책 발전방향
감사의 글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 비판적 사고성향 및 의사소통능력이 환자안전역량에 미치는 영향
- 머신러닝을 이용한 삼척 오십천 유역의 홍수유출모의
- 학대피해노인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실태 - 인구학적 요인분석을 중심으로
- 간호대학생의 PA간호사제도 합법화에 대한 인식조사
- 수문지형학적 분석에 의한 세천 취약성 분석
- 시뮬레이션 기반 응급상황 대처에 대한 교육요구도 조사 학령전기 아동어머니를 대상으로
- 알코올 사용 환자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재발경고 증상간의 관계 - 분노억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국방위기에 대비한 군무원 인력관리 발전방향 - 육군 군무원 이직의도 분석을 중심으로
- 아동 청소년을 위한 한국판 우울 평가 도구(K-PHQ-9A) 타당화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제20권 제7호 목차
- 세월호 참사 연구동향과 문헌고찰
- 보행자 사고 위험의 공간적 격차 식별을 위한 베이지안 모형 개발 - 대전광역시 소규모 행정 구역별 상대위험도 변화에 중점을 두고
- 노인의 죽음불안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유대감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ternational
- Master's Thesis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Ph.D. Dissertation
-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 Journal of Management
- Journal of Social Science
- Review of Korean Military Studies
- Crisisonomy
- The Quarterly Journal of Defense Policy Studies
-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Quarterly
- Weekly Defense Paper
- Army Personnel Command
- Korean Local Government Review
- Research report
-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 New York: Addision Wesley Publishing Company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nagement
- Proceedings of Seoul Association for Public Administration (SAPA)
- The Quarterly Journal of Defense Policy Studies
-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 Korean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Review
- The Quarterly Journal of Defense Policy Studies
- Journal of Policy Development
- Personnel Psychology
- Korean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 Master's Thesis in Public Administration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제21권 제1호 목차
- 건강 신념 모델이 코로나19 백신 정책 순응에 미치는 영향 분석 미디어 유형별 신뢰도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 부모의 주말근무와 초등학교 고학년 자녀의 학습 및 여가시간: 시간일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