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울·경 메가시티 구축에 따른 인구분포 변화 연구 - 도시 공간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이용수 12
- 영문명
- A Study on Changes in Population Distribution Following the Establishment of the Busan-Ulsan-Gyeongnam Megacity : Focusing on Urban Spatial Network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주거환경학회
- 저자명
- 박근송(Gen-Song Piao)
- 간행물 정보
-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제22권 제4호 (통권 제66호), 151~16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개발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nges in population distribution across different districts in the Busan-Ulsan-Gyeongnam(Bu-Ul-Gyeong) region before an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railway network, utilizing space syntax as the analytical framework. The research methodology involved constructing a spatial network based on the existing road and railway transportation systems in the Bu-Ul-Gyeong region, applying the local integration index to calculate the local integration values for each district, and performing regression analysis with actual population data. In the regression analysis, the population for each district was set as the dependent variable, while the standardized local integration values served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demonstrated a high explanatory power of 0.545. Using the derived regression equation, the study estimated the changes in population for each district in the Bu-Ul-Gyeong region. Analysis of the changes in population distribution revealed that Busan City experienced a decrease in population, Ulsan City saw a slight increase, while Gyeongnam Province experienced a significant increase. Furthermore, it was observed that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population distribution among the districts had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previous data. This indicates that the establishment of the railway network positively impacts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in the Bu-Ul-Gyeong area.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부·울·경 공간 네트워크 구축
Ⅳ. 부·울·경 공간분석 및 검증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가로주택정비사업이 인근 연립·다세대 가격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관악구와 부천시 오정구 비교 중심으로
- 공동주택 공용관리비 결정요인 분석 - 수요측 요인으로서의 입주자대표회의를 중심으로
- 서울시 주거지원 프로그램 수요의 잠재계층별 특성 분석
- 근린환경이 공공임대주택 거주민의 소셜믹스 인식에 미치는 영향분석 - 사회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주거서비스 관계법령 운영 현황 분석 및 문제점 도출 연구
- 거주 후 평가(Post Occupancy Evaluation)를 통한 대구시 공동주택 근린생활시설 계획의 중요도-만족도 비교분석 - 연면적 및 대지요소를 중심으로
- 도시정비사업 토지등소유자의 사전타당성검토제도 인식에 관한 실증연구
- 공동주택재건축사업 기부채납제도의 개선방향
- 도시재생 거점시설 건축특성에 따른 활성화 방안 연구 - 경상남도 도시재생 거점시설 매출액과 이용자 수를 중심으로
- 부·울·경 메가시티 구축에 따른 인구분포 변화 연구 - 도시 공간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 철도역 중심의 생활권 형성을 위한 컴팩트시티 조성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BEST
- 인구감소 지역의 지방소멸 대응 전략 방안 연구
-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인구감소·지방소멸 연구 동향 메타분석 및 연구 방향
- 부동산, 가상자산 및 주식시장 간의 가격 변동성 전이효과 분석
사회과학 > 지역개발분야 NEW
- 스마트 공간 유형별 스마트서비스 포지셔닝과 공간계획법의 개선방안
- 인구변화관점에서 본 일본의 입지적정화계획의 효과분석
- 프롭테크 정보서비스 품질이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소비가치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