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거주 후 평가(Post Occupancy Evaluation)를 통한 대구시 공동주택 근린생활시설 계획의 중요도-만족도 비교분석 - 연면적 및 대지요소를 중심으로

이용수  2

영문명
Comparison Analysi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with Neighborhood Facilities Planning of Apartment Complexes in Daegu Based on Post-Occupancy Evaluation : Focused on Total Floor Area and Site Elements
발행기관
한국주거환경학회
저자명
김훈(Hoon Kim) 우소영(So-Young Woo)
간행물 정보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제22권 제4호 (통권 제66호), 67~85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개발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of indoor and outdoor spaces in neighborhood facilities within apartment complexes using Post Occupancy Evaluation (POE). It compared results across different floor areas and land factors based on 1,001 survey responses collected from 2021 to 2023, ultimately analyzing 295 relevant responses representing 159 buildings. The findings revealed that spatial satisfaction was higher in buildings with total floor areas below 2,000㎡ or above 5,000㎡, featuring one access road with a ‘Gwangro’ width and one-way traffic. Addition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lanning evaluation indices were noted based on size and site elements, with no common items identified across all floor area categories. While all categories included “exterior common space” in the 'Concentrate Here' area, other urgent improvement items varied. The study confirmed that real-time surveys and analyses on an online platform can effectively utilize POE as a decision support tool for enhancing resident satisfaction during the early design stages or in design education.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응답 일반 특성 및 빈도 분석
Ⅳ. 공동주택 부설 근린생활시설의 계획특성 및 IPA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훈(Hoon Kim),우소영(So-Young Woo). (2024).거주 후 평가(Post Occupancy Evaluation)를 통한 대구시 공동주택 근린생활시설 계획의 중요도-만족도 비교분석 - 연면적 및 대지요소를 중심으로.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22 (4), 67-85

MLA

김훈(Hoon Kim),우소영(So-Young Woo). "거주 후 평가(Post Occupancy Evaluation)를 통한 대구시 공동주택 근린생활시설 계획의 중요도-만족도 비교분석 - 연면적 및 대지요소를 중심으로."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22.4(2024): 67-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