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종교인과세와 교회재정·회계
이용수 5
- 영문명
- Religious Taxation and Church Finance and Accounting
- 발행기관
- 한국교회법학회
- 저자명
- 정재곤(Jaegon Jung)
- 간행물 정보
- 『교회와 법』5권 1호, 170~192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18년 3월 27일 제기된 종교인소득과세에 관한 헌법소원 내용 중에는 비과세되는 종교활동비를 종교단체가 임의로 정하도록 함으로써 무제한으로 비과세가 가능하다는 점, 그리고 종교인에게 지급한 소득과 그 밖의 지출을 구분기장한 경우 세무조사에서 종교인소득과 관련된 부분에 한하여 조사하도록 한 점이 포함되어 있다.
이에 따라 종교인이 지급받은 종교활동비가 비과세되기 위한 요건 규정과 과세되는 종교활동비의 예시를 앞에서 살펴봄과 동시에 종교활동비를 종교인에게 지급하는지 여부에 따른 구분기록과 세무조사를 검토하였다. 결국 구분기록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세무조사 대상이 되는지 여부가 판단되므로 매년 3월 10일 제출의무사항인 지급명세서 기재가 대단히 중요한 사항으로 대두되었다. 종교인 개인에게는 사례비만 개인통장으로 지급하고 그에 대한 장부에 별도로 구분 기록한 경우에는 그 사례비만 지급명세서에 기재하는 것이고, 사례비 외에 종교활동비도 공적으로 종교단체 명의의 통장과 카드를 만들어 구분기록 관리 사용한 경우에는 기재하지 않아도 된다. 다만, 종교인 개인에게 종교활동비를 직접 지급한 경우는 그 액수를 지급명세서에 기재하여 신고하여야 한다. 물론, 종교인이 과세대상 소득을 전혀 받지 않았을 때는 지급명세서를 제출할 필요가 없다. 이 경우에는 원천징수의무도 연말정산의무도 확정신고의무도 없다.
지급명세서 서식을 보면 비과세요건을 갖춘 종교활동비를 직접 개인이나 통장으로 지급받는 경우에는 지급명세서 상 비과세란에 기재하고 비과세요건을 못 갖춘 종교활동비를 직접 지급받는 경우에는 그 금액을 사례비와 함께 과세란에 기재하면 된다. 다만, 사례비 외에 종교활동비를 공적으로 종교단체 명의의 통장과 카드를 만들어 규정대로 구분기록 관리 사용한 경우에는 지급명세서 비과세란에 기재하지 않아도 된다.
영문 초록
Among the contents of the Constitutional Law on Income Taxation of Religious Persons filed on March 27, 2018, it is possible to have unlimited tax exemption by allowing the religious organizations to arbitrate the amount of non-taxable religious activities, as well as the income and other expenses paid to religious persons. In one case, the tax investigation included only those related to religious income.
If the individual pays only the case fee to the individual account book and records it separately in the ledger, the case fee is included in the statement of payment only. You do not need to describe it. However, if a person pays religious activities directly to a religious individual, the amount shall be reported on the statement of payment. Of course, there is no need to submit a statement of payment when a religious person has not received any taxable income. In this case, there are no withholding obligations, year-end settlement obligations, or final declaration obligations.
In the form of payment statement, if you receive the non-taxable religious activity directly by individual or bank account, you can write it in the non-taxable section of the payment statement. It may be described in. However, if the expenses for religious activities are publicly made in the name of a religious organization and used as a separate record, the records need not be listed in the tax exemption section.
목차
Ⅰ. 서 론
Ⅱ. 종교인소득 과세의 내용
Ⅲ. 종교인소득 과세와 교회재정·회계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양교육과 종교교육: 학교 종교교육 ‘삶과 종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 새『교리교육지침』에 따른 한국 천주교회 유아 신앙교육에 대한 대안적 접근: 『샬롬, 가톨릭 유아 교리 교안집』의 한계와 착한목자 교리교육(CGS)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 분석
-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종교교육 현황과 과제: 불교종립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