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종교인소득과세 관련 주요 쟁점
이용수 2
- 영문명
- Major Issues in Religious Income Tax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회법학회
- 저자명
- 이석규(Seokku Lee)
- 간행물 정보
- 『교회와 법』5권 1호, 143~16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종교인소득 과세법이 시행된지 몇 달이 지났다. 아직은 어떤 문제가 제기되지는 않았다. 그렇다고 하여 아무 문제가 없다고는 보기 어렵다. 우선 법 시행과 관련하여, 입법과정에서 행정절차법과의 마찰은 없는지, 종교인의 퇴직소득의 과세범위는 문제가 없는지, 종교인소득 과세법의 근간이 되는 종교단체에 관한 규정은 문제가 없는지와 종교인에게 주어지는 광범위한 선택권이 종교인소득 과세제도의 연착륙에 도움이 될 것인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행정절차법의 입법취지는 국민의 생활과 직접적인 밀착관계가 있는 법률의 제정 개정 폐지 등의 경우 일반 국민들의 의견을 들어 보기 위한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종교활동비 비과세 규정의 경우 이해당사자의 의견을 물어보는 기간을 하루만 준다던지 아예 주지 않는 것은 행정절차법의 입법취지를 몰각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음, 종교인 퇴직소득의 과세범위에 있어서도 종교인 퇴직금 과세 시행일 이후에 적립된 금액에 대하여만 퇴직금 과세대상으로 하는 것이 공무원 등의 퇴직금과세와의 형평성을 감안하고 또한 소급과세를 피하기 위한 제도로 보인다. 세 번째, 현행법에 의하면 종교인소득 과세의 대상과 관련한 종교단체에 관한 규정도 한국표준직업분류를 차용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끝으로 종교인소득과세에 있어서는 다른 어떤 세금에 비하여 종교인에게 선택권을 폭넓게 인정하고 있다. 이러한 선택권은 한편으로는 종교인에게 편리한 제도로 보이기도 하지만 다른 편에서 보면 지금까지의 세법체계와는 다른 어색한 모습으로 남아 있다. 이는 조세법체계의 근간을 흔들 위험이 있으므로 속히 선택권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Several months have passed since the Religious Income Tax Act was put into effect. No problem has been raised yet. However, it is hard to say that there is no problem. First of all, with regard to the enforcement of the law, whether there are any conflicts with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law in the legislative process, whether there is no problem in the taxable scope of the retirement income of the religious person, and whether there are no problems regarding the religious organizations that are the basis of the taxation of the religious income. We examined whether the wide range of options offered would help soft-landing the religious income tax system. First of all, the legislative purpose of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is to listen to the opinions of the general public in the case of the repeal of the enactment and revision of laws that have a direct relationship with the lives of the people. From this point of view, the tax exemption for religious activities seems to be immersed in the legislative purpose of the Administrative Procedure Act, giving only one day or no time to ask for the opinions of stakeholders.
Next, even in the taxable range of religious retirement income, the retirement allowance should be taxable only for the amount accumulated after the date of the taxation of the religious retirement allowance. Third, according to the current law, regulations on religious organizations related to the object of religious income taxation also need to borrow Korean standard occupation classification. Finally, when it comes to taxing religious income, religious people have a wider choice of options than any other tax. This option, on the one hand, appears to be a convenient system for religious people, but on the other hand, it remains awkward from the tax system. This risks shaking the foundations of the tax law system, so it is necessary to quickly limit the options.
목차
Ⅰ. 시작하면서
Ⅱ. 종교활동비의 입법과정과 행정절차법
Ⅲ. 종교인 퇴직소득의 범위
Ⅳ. 종교단체
Ⅴ. 종교인에게 광범위한 선택권 부여 과연 바람직한가.
Ⅵ. 마치면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양교육과 종교교육: 학교 종교교육 ‘삶과 종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 새『교리교육지침』에 따른 한국 천주교회 유아 신앙교육에 대한 대안적 접근: 『샬롬, 가톨릭 유아 교리 교안집』의 한계와 착한목자 교리교육(CGS)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 분석
-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종교교육 현황과 과제: 불교종립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