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랑의교회 담임목사의 목사자격 - 대상판결: 대법원 2018.4.12. 선고 2017다232013 판결
이용수 2
- 영문명
- Pastoral Status of Sarang Church’s Chief Pastor: A Review on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17Da232013 Decided Apr.12, 2018
- 발행기관
- 한국교회법학회
- 저자명
- 서헌제(HunJe Suh)
- 간행물 정보
- 『교회와 법』5권 1호, 118~142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교단이 분립해 있는 한국교회의 현실상 다른 교단에 속하는 교회의 목사임직을 받으려면 그 교단 직영신학교에서 편목과정을 거쳐 강도사 인허를 받아야 한다. 이는 각 교단마다 교리와 신조 그리고 교회헌법이 다르다는 것을 전제로 이에 대한 최소한의 교육을 하는 것이다. 그런데 대법원은 편입과 편목의 구분을 전제로 오OO목사가 예장합동교단의 총신대학교에 편목이 아닌 일반편입생, 다시 말하면 신규목사 과정을 밟았고 따라서 과정 이수 후에 다시 목사 고시와 안수를 받아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오OO 목사는 사랑의 교회로 청빙되기 전 이미 17년간 미국 장로교에서 성공적인 목회를 하던 사람이다. 그러기에 한국교회를 대표하는 사랑의 교회 담임목사로 청빙된 것이다. 그런데 오OO목사가 한국 예장합동 교단 소속의 사랑의 교회담임목사로 임직하기 위해 간이한 편목과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반신학생으로서 편입하여 다시 목사안수를 받기로 하였다고 보는 것은 도무지 상식에 맞지 않는다. 또한 이미 목사안수 받은 사람이 다시 목사안수를 받아야 한다는 것은 교회의 전통과 믿음에도 반한다.
더구나 이러한 사실과 주장은 이 소송과정에서 당사자 누구도 주장한 바가 없는데, 대법원이 독단적으로 판결이유에 적시한 것은 변론주의와 석명권의 한계라는 소송법상대원칙에 어긋난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크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be a pastor of a church belonging to another denomination, the Korean church, which is divided into denominations, has to be trained at the denomination's direct seminary and approved by a robber. This is to provide a minimum education on the premise that different doctrines, creeds, and church constitutions differ. However, the Supreme Court decided that Pastor Oh Jung-hyun, who was not a member of the Yejang Church, had a general pastor, that is, a new pastor course, and had to receive pastoral notice and ordination after completing the course.
Pastor Oh Jeong-hyun has been a successful pastor of Presbyterian Church for 17 years before being called to Sarang Church. That is why he was called as a pastor of Sarang Church representing the Korean church. However, it is not common sense that Oh Jung-hyun decided to transfer as a regular seminary student and receive pastor ordination despite the simple process of organizing to serve as a pastor of a Sarang Church in Korea. It is also against the church's traditions and beliefs that those who have already been ordained must be ordained again.
Moreover, the facts and allegations have not been claimed by any of the parties in the proceedings, but it is doubtful whether the Supreme Court arbitrarily pointed to the grounds of judgment against the law of lawsuits, which are the limits of pleadings and the right to civil rights.
목차
Ⅰ. 사건의 개요
Ⅱ. 쟁점
Ⅲ. 판결요지
Ⅳ. 검토
Ⅴ. 맺는 말
키워드
목사의 자격
사랑의교회
종교의 자유
권징재판
사법심사
담임목사
편목
편입
재안수
정교분리
미국장로교교단
목사청빙
총신대학교
Qualification of Pastor
Sarang Churh
Freedom of Religion
Disciplinary Trial
Judicial Review
Chief Pastor
Arrangement
Transfer
Re-ordination
Separation of State and Religion
PCA: Presbyterian Church in America
Pastor's call
Chongshin University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양교육과 종교교육: 학교 종교교육 ‘삶과 종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 새『교리교육지침』에 따른 한국 천주교회 유아 신앙교육에 대한 대안적 접근: 『샬롬, 가톨릭 유아 교리 교안집』의 한계와 착한목자 교리교육(CGS)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 분석
-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종교교육 현황과 과제: 불교종립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