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단재 신채호와 위암 장지연의 계몽 시의론(時議論)

이용수  23

영문명
Shin Chae-ho and Jang Ji-yeon's Enlightenment Discourse
발행기관
한국언어문학회
저자명
김찬기(Chan-ki Kim)
간행물 정보
『한국언어문학』第128輯, 133~149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1.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The Enlightenment discourse, which appeared in modern Korean literature in the early modern era, can be viewed through the works of Shin Chae-ho and Jang Ji-young. First, it is the enlightenment discourse of post-Confucianism represented by Shin Chae-ho. Shin Chae-ho rejects both Chinese-centeredness and Western universalism based on studying abroad and advocates nationalism. Since then, Shin Chae-ho has established a post-religious discourse that rejects all religions (Confucianism, Islam, Buddhism, Christianity) that have entered in Korea. Second, Jang Ji-yeon's enlightenment discourse was based on Confucianism and based on this, it was intended to accept Western technology. Although Jang Ji-yeon accepts Western technology, he never gave up the ideology of Confucianism. In the end, however, Jang Ji-young's discussion of enlightenment resulted in Japan's pro-Japanese relationship.

영문 초록

목차

1. 두 기축의 공리와 계몽 시의론
2. 단재의 유학 비판과 탈종교화
3. 위암의유학인식과변법시의론의한계
4. 근대 초기 계몽 시의론과 그 함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찬기(Chan-ki Kim). (2024).단재 신채호와 위암 장지연의 계몽 시의론(時議論). 한국언어문학, (), 133-149

MLA

김찬기(Chan-ki Kim). "단재 신채호와 위암 장지연의 계몽 시의론(時議論)." 한국언어문학, (2024): 133-1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