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hanges in traditional History-Themed TV Series in the 2020s: Focusing on
- 발행기관
-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 저자명
- 최지운(Ji-Woon Choi) 이종훈(Jong-Hoon Lee)
- 간행물 정보
- 『글로벌문화콘텐츠』제61호, 279~30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에 주로 방영되는 TV사극의 주요한 특징들이 정통사극의 그것과는 다소 멀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장르가 지니는 매력과 가치는 여전히 유효하고, 이를 인정하는 시청자가 존재하기에 정통사극의 수요는 계속되고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제작 방영된 <고려거란전쟁>(KBS2)은 소재나 접근방법에서 정통사극의 범주들어가지만, 동시에 기 ⋅
존 정통사극과 비교했을 때 몇 가지 변화의 양상을 살필 수 있다. 이러한 변화에는 긍정적인 요소들도 있으며, 변화의
시도 속에서도 아직은 한계를 보여준 아쉬운 점이 고루 자리했다. 본고는 최근에 정통사극에 집중하는 연구를 거의 찾아
보기 어려운 상황에서 TV정통사극의 명맥을 잇고, 여러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여러 새로운 시도를 한 <고려거란전쟁>을
중심으로 TV정통사극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주요한 변화로는 특정한 위인이나 영웅의 일대기나 업적 중심으로 서사를 풀어내지 않았다는 점과 TV사극에서 매우
흔하게 등장하는 조선시대라는 시대적 배경을 벗어나 고려시대를 조명한 점은 긍정적인 변화로 꼽을 수 있다. 또한 보편
적인 정통사극의 제작 관습을 일방적으로 따르지 않은 까닭에 새로운 볼거리와 캐릭터를 구현할 수 있었다.
반면 <고려거란전쟁>이 전쟁사극을 표방하겠다고 밝혔음에도 여전히 역사 왜곡의 시비 가능성이 큰 궁중 암투의
서사에 다소 큰 비중을 두고 있다는 점과 제작진이 선택한 몇몇 전투 외에는 빈약한 스펙터클을 드러낸 점은 정통사극의
한계이자 아쉬움으로 남는다.
재미 외에도 국가정체성이나 역사 교육의 기능까지 수행하는 TV정통사극의 한계와 가능성에 대한 연구는 향후 콘텐
츠 개발과 지향점에 여러 시사점을 줄 수 있다. 긍정적인 변화와 한계를 유의하여 제작의 방향과 전략을 삼는다면 더욱
완성도 높은 정통사극이 만들어져 시청자들을 찾아갈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Despite the fact that the main trend of history-themed TV series is away from the traditional history-themed TV series,
still the traditional history-themed TV series are still in demand since there are viewers who appreciate the charm and
value of this genre. Produced and aired amid this reality. has revealed both positive changes and
limitations. This study is to analyze this situation while almost no academic efforts have been made on Korean traditional
history-themed TV series.
It does not place its focus on the life or achievements of certain great figures while its history background is the
Goryeo Dynasty instead of the Joseon Dynasty, which is commonly featured in history-themed TV series: those could be considered as the positive changes. Because it did not unilaterally follow the typical procedure for production of
traditional history-themed TV series in Korea, it was able to present new characters as well as new ideas.
On the other hand, although it was declared that would be a war drama, it still emphasized the
struggles of the royal family even if there could be a possibility of historical distortion, and its war scenes were rather
less spectacle except for a few selected battles. These are limitations of Korean traditional history-themed TV series.
In addition to fun, research on the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of traditional History-Themed TV Series that perform
the function of national identity and history education can give various implications for future content development and
direction. If the direction and strategy of the production are taken by paying attention to positive changes and limitations,
a more complete authentic historical drama will be created and viewers will be able to visit.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20년대 TV정통사극의 변화 양상: <고려거란전쟁>을 중심으로
- <클로즈 유어 아이즈>의 메타영화성
- 박물관의 텍스트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관객 경험을 통해 본 이머시브 시어터의 공간적 특성 연구: 상하이 ‘Sleep No More’를 중심으로
- 드라마 속 청년세대의 집단적 권태와 능력주의의 인과성 고찰: <나의 해방일지>를 중심으로
- K-POP아이돌 팝업스토어의 서비스스케이프 구현 전략
- 대학생의 정보 스토리텔링 역량 강화를 위한 소셜미디어 콘텐츠 창작 교과목 연구
- 한국 콘텐츠산업의 수도권 대 비수도권 격차문제와 정책적 대응방향
- 들뢰즈의 신체에 대한 사유의 관점으로 본 다큐멘터리 영화의 전복적 서사의 가능성:김 동령 ⋅박경태 감독의 <임신한 나무와 도깨비> 분석을 중심으로
- 디지털 게임 <데이브 더 다이버>와 <거타지 설화>의 바다 영웅 서사 구조 비교
- 포스트 아포칼립스 영화 속 공간의 정치학
- 마스코트 호러 게임 장르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연구
- 지역캐릭터 활용사례 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경북북부권 지역캐릭터 활용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스트 라이브즈>, 변화된 디아스포라 서사와 그 시간적 균열
- 글로벌문화콘텐츠 제61호 목차
- 문화유산 관리 과정에서 갈등에 관한 연구: 홍콩특별행정구를 사례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식민지 조선 언론의 ‘위기’ 담론과 미국: 『동아일보』와 『조선일보』를 중심으로 (1920-1940)
- Louisa May Alcott's Pets
- Reframing Failure through an Asian American Body in Aya Ogawa’s The Nosebleed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