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튀니지의 통상환경에 관한 연구: 지중해시장의 거점화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The Trade Environment of Tunisia: A Feasibility Study for the Foothold in the Mediterranean Market
발행기관
아시아.유럽미래학회​
저자명
김중관(Joong-Kwan Kim) 이승영(Sing-Young Lee)
간행물 정보
『유라시아연구』제5권 제2호, 1~16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09.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튀니지의 통상 환경과 투자 여건을 중심으로 AMU 내에서 지역무역협력, EU 등과의 지역간 경제협력 및 발전 가능성을 분석에 연구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튀니지 경제정책을 전체적으로 분석하고 경제 정책에 초점을 맞추어 평가와 예측을 한다. 튀니지의 대외정책은 아랍 제국과의 연대 강화를 기본 노선으로 하여 마그립 협력 체제를 강화하고 있으며 비동맹 친 서방 온건 중립주의를 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 협력을 우선 과제로 하여, 모로코와 함께 아랍마그립 연합(Arab Maghreb Union: AMU)의 결성하여 북아프리카 아랍권 국가들의 단일 시장 및 정치 공동체 형성을 모색하는 동시에, 경제적으로는 EU와의 단일 시장을 추구하고 있다. 튀니지는 외국인 투자유치를 통한 경제개발정책의 효율성을 추구하고 있으며, EU와 새로운 동맹 체결로 인한 경제적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매년 2억 달러 이상의 외국인투자유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 한편, 주변국과 우호관계 유지 및 협력지향적인 튀니지의 정책을 성공시키기 위하여 지중해 국가와 경제적 연대를 집중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통상적인 측면부터 다루어서 마그립지역에서의 튀니지의 경제적 특성, 그리고, 튀니지 진출을 위한 가능성을 확인한다. 튀니지가 추진하고 있는 경제정책은 대내적으로 기업이 투자, 생산, 부의 창출을 담당하는 주요 주체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기업 활동을 보조하고, 다음으로 건전한 성장을 바탕으로 사회 각계각층의 분배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요약할 수 있다. 대외적으로는 튀니지는 주변국과 우호관계 유지 및 협력지향적인 EU의 정책이 성공적이기 위하여 지중해 국가로부터 호혜적인 협력을 기대하고 있다. 지역적 통합이 21세기 국가발전의 중요한 방법으로 인식되는 시점임에도 불구하고, AMU(아랍마그립 연합)의 경제적 정치적 통합은 최소한의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유럽과의 협력은 튀니지의 경제발전을 위해서 무엇보다도 중요한 기회가 되고 있다. 유럽과의 협력은 쌍무적인 무역관계가 엄격하게 제한되어 있어서 불충분할 수밖에 없다. 특히, 유럽 경제범위의 확대가 주요한 문제가 되고 있는데, 유럽과 협력관계에서 최근 EU에 가입한 동구권 국가와의 경쟁, 특히, 자원의 비교우위가 가변적인 요소이다. 이제까지 지중해 남부지역의 경제적 낙후성이나 자원 보유의 정도에 따라서 이 지역 경제연구가 진행되어 왔지만, 유럽과의 경제협력의 측면에서도 튀니지에 대한 진출정보를 위한 경제환경 연구는 중요하다. 튀니지는 2008년 EU와 자유무역지대 창설 후에는 EU와 상품교역이 증가할 것이므로 EU진출을 위한 전진기지로 직접투자 또는 합작 투자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 전통적인 경제교류대상이던 유럽뿐만 아니라, 한국, 중국, 일본 등 아시아 제국으로 협력대상을 다변화하고자 하고 있으므로 이를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투자와 수출을 종합적으로 연계하여 추진하고 장기적으로 진출업체의 중동·아프리카 지역의 수출 전진기지의 역할도 가능할 것이다. 튀니지의 경제정책 평가와 경제발전의 예측에 대한 연구의 결과는 대중동 지역의 통상과 대외정책의 밑거름이 되고, 북아프리카 튀니지의 통상환경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진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unisia is in the process of economic reform and liberalization after decades of extensive involvement of the government in the economy. Prudent economic and fiscal planning has resulted in moderate sustained growth for over a decade. Historically, Tunisia's economic growth has depended on oil, phosphates, agriculture, and tourism. The government's initial economic policies limited success during the early years of independence. The Tunisian economy is expected to grow at a relatively steady pace in the future, with the recovery of world economy. Tunisia needs to play its role in the Maghreb community by providing a helping hand to other underdeveloped countries. The government should continue to liberalize Tunisia's economy and to strengthen its significant achievements in trading and foreign direct investment. Tunisia's growth will enhance North Africa's economic cooperation with Europe and with other inner circle countries.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for economic development is very week in Tunisia. There are no financial institutions catering exclusively for the financial needs of private companies. Since private sectors have great difficulties in getting loans from banking institutions due to the lack of collateral, it seems necessary to set up credit guarantee fund system to help financial needs Tunisia's economic policies will focus on increas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economy to attract more investment thereby raising growth rates and creating jobs. The government recognizes the value of its Association Agreement with the EU, which has helped to modernize its investment environment and to foster international trade. This paper discusses the major issues facing the Tunisia's economic policy on the trade and investment environment in detail.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apart from various explicit policy measures as mentioned above, the implicit policy such as trade and competition policy can also play an important role in stimulating industrial development of Tunisia. As pointed out repeatedly above, trade policy should be used as an important policy instrument for inducing positive activities of private firms. Competition policy in terms of deregulation and privatization could also mak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stimulating industrial progress.

목차

Ⅰ. 서 론
Ⅱ. 통상과 투자환경
Ⅲ. 경제정책 분석
Ⅳ. 정책 평가와 예측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중관(Joong-Kwan Kim),이승영(Sing-Young Lee). (2008).튀니지의 통상환경에 관한 연구: 지중해시장의 거점화를 중심으로. 유라시아연구, 5 (2), 1-16

MLA

김중관(Joong-Kwan Kim),이승영(Sing-Young Lee). "튀니지의 통상환경에 관한 연구: 지중해시장의 거점화를 중심으로." 유라시아연구, 5.2(2008): 1-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