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自立して用いられる日本語の助動詞に関する分析

이용수  0

영문명
An Independent Using of Japanese Auxiliary Verb
발행기관
아시아.유럽미래학회​
저자명
김동욱(Dong-Wook Kim)
간행물 정보
『유라시아연구』제8권 제2호, 189~201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6.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다음 예문 (1)의 「ワタナベ君(와타나베군)」과 「でしょ?(이지요?)」 사이에는 쉼표가 있다. 쉼표란 한 숨 쉬고 나서 다음 대화로 진행한다는 의미가 있다. 이렇게 “한 숨 쉬고 나서” 라는 의식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예문 (2)와 같이 조동사가 아예 따로 떨어져 나가서 자립하여 쓰이는 경우가 있다. 1) 彼女はすっと立ち上がって僕の方にやってきた。そしてテ-ブルの端に片手をついて僕の名前を呼んだ。(그녀는 걸어서 내 쪽으로 왔다. 그리고 책상 모서리에 한 손을 올리고 나의 이름을 불렀다)「ワタナベ君、でしょ?」(와타나베군, 이죠?)僕は顔を上げてもう一度相手の顔をよく見た。しかし何度見ても見覺えはなかった。(나는 고개를 들어 다시 한 번 그녀의 얼굴을 봤다. 그러나 몇 번을 다시 봐도 알아볼 수가 없었다.) (ノルウェイの森·上)(노르웨이의 숲·상) 2) 私たちは不完全な世界に住んでいる不完全な人間なのです。定規で長さを測ったり分度器で角度を測ったりして銀行預金みたいにコチコチと生きているわけではないのです。でしょ? (우리들은 불완전한 세계에 살고 있는 불완전한 사람이다. 자로 길이를 재듯이, 각도기로 각도를 재듯이, 은행예금처럼 차곡차곡 살아갈 수 없습니다. 그쵸?) (ノルウェイの森·下)(노르웨이의 숲·하) 이른바 추측의 조동사인 「だろう(でしょう)(∼일 것이다)」 「みたいだ(∼인 것 같다)」 「らしい(∼가 보다)」 「かもしれない(∼일지도 모른다)」 등은 구체적인 서술내용을 모두 생략하고 위 예문과 같이 자립하여 쓰이는 경우가 흔히 있다. 과거 규범문법에 기초한 선행연구들에서는 이러한 조동사들은 자립어가 아닌 부속어라는 이유로 자립하여 쓰일 수 없다고 여겨져 왔으며, 이러한 현상에 대해서는 다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대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의미적으로는 생략하여야 할 서술내용 전체가 이미 알려진 정보이어야 한다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따라서 다른 새로운 정보를 전혀 덧붙이지 않고도, 이미 상대방이 말한 서술내용에 대해서 ‘참’ ‘거짓’ 만을 판단하는 것만으로도 대화가 자연스럽게 성립하는 ‘추측’의 조동사에 한정된다. 형태적으로는 서술내용만으로도 완전하거나 또는 그에 가까운 형태를 취하면서고, 서술내용과 조동사의 연결 부분이 간결한 것이 자립하여 쓰이는 조건임을 밝혔다.

영문 초록

There is a comma between 「ワタナベ君」 and 「でしょ?」 in the example sentence (1). Comma means “Proceeding to the next dialogue after a deep breathing.” After the deep breathing, Japanese auxiliary verbs are frequently separated from the full sentence just like the example sentence (2). 1)彼女はすっと立ち上がって僕の方にやってきた。そしてテ-ブルの端に片手をついて僕の名前を呼んだ。(She came walking toward me. A hand up in the corner of my desk and called my name.) 「ワタナベ君、でしょ?」(Watanabe's, right?) 僕は顔を上げてもう一度相手の顔をよく見た。しかし何度見ても見覺えはなかった。(I once looked up and saw her face. But again, I see how many times you could see out.) (ノルウェイの森·上)(Norway's forests, partⅠ) 2) 私たちは不完全な世界に住んでいる不完全な人間なのです。定規で長さを測ったり分度器で角度を測ったりして銀行預金みたいにコチコチと生きているわけではないのです。でしょ?(We are imperfect people living in the world is incomplete. Measure the length of characters, or as aprotractor to measure angles, just as neatly on the bank to deposit money as you can not live. Right?)(ノルウェイの森·下)(Norway's forests, partⅡ) Japanese auxiliary verb of ‘Darou’ ‘Rasii’ ‘Youda’ ‘Mitaida’ ‘Kamosirenai’ is used independently in the practical dialogue so often. but this kind of linguistic phenomena has not been reported yet. because these kind of auxiliary verbs have been regarded as a dependent words in Japanese traditional gramma system for a long time. So This study reports the following. Semantically this kind of Japanese auxiliary verbs should not need new information. That is why this independent using of auxiliary is limited to a speculation auxiliary verbs. Morphologically this kind of Japanese auxiliary verbs should have simple connection forms between proposition and modality.

목차

Ⅰ. はじめに
Ⅱ. Semanticsの側面から
Ⅲ. Morphologyの側面から
Ⅳ. まとめ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동욱(Dong-Wook Kim). (2011).自立して用いられる日本語の助動詞に関する分析. 유라시아연구, 8 (2), 189-201

MLA

김동욱(Dong-Wook Kim). "自立して用いられる日本語の助動詞に関する分析." 유라시아연구, 8.2(2011): 189-20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