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vised Trade Policy of European Union : Focusing on the Countermeasures of Korea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저자명
- 조병휘(Byung-Whee Cho) 전형구(Hyeong-Gu Jeon)
- 간행물 정보
- 『유라시아연구』제8권 제2호, 1~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10년 EU는 장기비전인 Europe 2020전략 달성을 위한 대외통상부문 실행전략으로 개정통상정책을 채택하였다. 앞서 시행된 2006 Global Europe 통상정책 성과평가를 바탕으로 수정 보완해 작성된 개정통상정책은 서비스교역, 해외직접투자, 공공조달, 규정장벽, 지적재산권 등을 통상이슈로 적극 제기해 EU기업의 글로벌 시장 확대를 지원하며, WTO DDA타결을 위한 노력과 함께 현재 협상중인 FTA 타결에 적극 나서는 계획을 담고 있다. 외국의 보호무역조치를 감시하기 위한 민관 합동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운영하고, 통상장벽규정(TBR)등 무역방어수단을 적극 활용하는 내용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EU의 개정통상정책에 대응 방안으로는 첫째, 국제통상이슈의 협력을 통해 한-EU간 ‘전략적 동반자 관계’ 구축기회로 삼아야 한다. 한-EU FTA를 통해 한국은 EU에서 제기하고자하는 공격적 통상이슈에 대한 협상을 대부분 마무리했기 때문에 양측간 통상분쟁의 가능성은 낮으며 오히려 제3의 시장을 개방시키기 위한 협력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둘째, EU의 적극적 WTO DDA 협상타결 노력을 위해 협력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EU의 공격적 통상정책으로 인해 한국과의 통상분쟁 가능성이 있는 분야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 특히 EU는 한-EU FTA의 실행 여부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기로 하는 등 협정의 이행에 관심을 많이 둘 예정이다. 넷째, EU와 주요 통상국-특히 일본 및 중국-과의 관계를 관심있게 관찰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국제통상분야의 규정제정자인 EU통상정책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확대 구축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In 2010, the trade policy of EU was revised, which wa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foreign trade policy of the strategy “Europe 2020”. The revised trade policy was modified on the basis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of the Global Europe 2006 trade policy. In adopting the new policy, the EU will actively raise trade issues such as service trade, foreign direct investment, public procurement, and intellectual properties for supporting European corporations in the global market. Furthermore, the EU is planning to conclude the FTAs currently being negotiated as well as the WTO DDA as early as possible, run a public-private joint monitoring system to keep a watchful eye on non-tariff barriers in trading partners, and take full advantage of various trade defense measures including Trade Barriers Regulations (TBR).
As the countermeasures to the revised trade policy of the EU, the following 5 points are of importance: ① Through the cooperation with the EU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trade issues, Korea should find more chances for strategic partnership relations between the EU and Korea. By the Korea-EU FTA, Korea has already completed negotiations for sensitive trade issues, which the EU could possibly raise.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bilateral trade dispute is very low, and the situation in reality gives Korea more bilateral cooperation possibilities for the openness of the third markets. ② Korea should take up a positive attitude for signing the WTO DDA of EU. ③ Korea should check the areas that could cause a trade dispute under the new trade policy of the EU. The EU is expected to pay special attention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Korea-EU FTA, closely monitoring in particular the fulfillment of the agreement. ④ Korea is to pay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EU and its main trading partners - in particular Japan and China. ⑤ Korea should expand its network system to monitor the trade policy of the EU, which will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various regulations of international trade.
In 2010, the trade policy of EU was revised, which wa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foreign trade policy of the strategy “Europe 2020”. The revised trade policy was modified on the basis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of the Global Europe 2006 trade policy. In adopting the new policy, the EU will actively raise trade issues such as service trade, foreign direct investment, public procurement, and intellectual properties for supporting European corporations in the global market. Furthermore, the EU is planning to conclude the FTAs currently being negotiated as well as the WTO DDA as early as possible, run a public-private joint monitoring system to keep a watchful eye on non-tariff barriers in trading partners, and take full advantage of various trade defense measures including Trade Barriers Regulations (TBR).
As the countermeasures to the revised trade policy of the EU, the following 5 points are of importance: ① Through the cooperation with the EU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trade issues, Korea should find more chances for strategic partnership relations between the EU and Korea. By the Korea-EU FTA, Korea has already completed negotiations for sensitive trade issues, which the EU could possibly raise.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bilateral trade dispute is very low, and the situation in reality gives Korea more bilateral cooperation possibilities for the openness of the third markets. ② Korea should take up a positive attitude for signing the WTO DDA of EU. ③ Korea should check the areas that could cause a trade dispute under the new trade policy of the EU. The EU is expected to pay special attention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Korea-EU FTA, closely monitoring in particular the fulfillment of the agreement. ④ Korea is to pay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EU and its main trading partners - in particular Japan and China.
목차
Ⅰ. 서 론
Ⅱ. 2006 Global Europe 통상정책의 대두
Ⅲ. EU의 개정 통상정책
Ⅳ. 시사점 및 대응방안
Ⅴ.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성서적 생태학의 관점에서 러시아 에너지 기업의 CSR 반성
- 唐湜诗歌创作艺术综论
- 새마을금고 재무적 특성의 부실예측에 관한 연구
- 환경적 요인에 의한 대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와 학업성취에 관한 연구
- EU의 개정통상정책과 대응방안
- 한국 국민연금기금의 영국 FTSE 투자에 따른 위험 관리를 위한 KOSPI 200 선물의 교차헤지에 관한 연구
- Future Possibility of Military Cooperation between Chinese People’s Liberation Army and Japanese Self-Defence Force
- 방산물자 가격경쟁력 향상을 위한 원가 및 계약제도 개선 연구
- 自立して用いられる日本語の助動詞に関する分析
- 宗教信仰与其教育功能的关系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AI)과 윤리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