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환경적 요인에 의한 대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와 학업성취에 관한 연구

이용수  5

영문명
A Study on Satisfaction of School Life and Scholastic Achievement in College Students Caused by Environment Factors
발행기관
아시아.유럽미래학회​
저자명
공효순(Hyo-Soon Kong)
간행물 정보
『유라시아연구』제8권 제2호, 171~187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6.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학습자들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중에 학교생활만족은 매우 중요한 매개변인으로 추정, 인식되고 있다. 이것은 학업성취를 높이기 위한 제 환경의 개선은 먼저 학습자의 학교생활만족을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하고 학교생활만족이 개선될 때 비로소 학업성취의 향상이 이루어질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즉, 학교생활만족이 없는 상황 하에서는 학업성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없을 것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그러나 학교생활만족이 매개변인으로서의 기능을 항상, 언제나, 어느 상황에서나 수행하는 것인지의 여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된다. 상황에 따라 학교생활만족이 이루어지지 않아도 학업성취는 그 필요성의 강약, 학습자의 정신적, 육체적 제 조건 등, 다른 변인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위와 같은 필요성에 따라 다른 상황, 다른 환경에 있는 다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학교생활만족이 학업성취에 매개변인의 역할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실증적으로 조사 검증하여 학습자의 환경이 어떠한 이유와 과정을 학습자에게 제공하여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발견하려는 시도인 것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호텔경영학 전공자의 학업수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제 학습 환경요인 중 물리적 환경, 작용적 환경, 전공에 대한 비전, 소진경험 등이 호텔경영학 전공자의 학교생활만족, 학업성취 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특히 이때 학교생활만족이 매개변수로의 역할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추정하는 것이 이 연구의 주목적 중에 하나이다. 이에 따라 이번 연구를 통해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물리적 환경, 작용적 환경, 전공비전 등은 모두 학교생활만족에 정(+)의 관계를 나타낸다. 그러나 이때 학습자의 소진경험은 학교생활만족과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학교생활만족은 학업성취와 정(+)의 관계를 나타낸다. 셋째, 소진경험을 제외한 물리적 환경, 작용적 환경, 전공비전 등은 학업성취와도 직접적으로 정(+)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것은 학교생활만족이 매개변수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않음을 시사해 준다. 즉, 이때 물리적 환경, 작용적 환경, 전공비전 등은 학교생활만족을 통해서만 학업성취에 정(+)의 관계를 갖는 것이 아니고 직접적으로도 학업성취에 정(+)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학교생활만족은 학업성취의 주요 매개변수가 되지 못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것이다. 이는 호텔경영학 전공자들의 학업향상, 학업성취에 필요한 학습 환경을 개선할 때에 학교생활만족을 우선적으로 고려할 필요성이 요구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다. 즉 호텔경영학 전공자들에 있어 학교생활만족은 학업성취 고양에 필요한 중요 독립변수 중에 하나임에 틀림없으나 학교생활만족만이 학업성취에 최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검증결과는 교육현장에서 상기의 변인들에 대한 고려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최선의 노력을 경주하여야 할 것을 시사해 준다.

영문 초록

Among various parameters influencing students’ scholastic achievements, satisfaction of school life is assumed to be a very important parameter. This means that improvement of environments for elevating scholastic achievements shall be performed in consideration of students' satisfaction of school life above all and that elevation of scholastic achievements shall be realized only when satisfaction of school life is improved. In other words, it indicates that elevation of scholastic achievements cannot be expected without satisfaction of school life. A question is raised, however, whether satisfaction of school life functions as a parameter always at any time and in any situation. place. It is considered that, even though satisfaction of school life is not achieved in a certain situation, scholastic achievements also can be influenced by other parameters such as strength of necessity, students’ psychological, physical conditions, etc. Accordingly,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i) to positively investigate whether satisfaction of school life of various students in different situations and different environments functions as a parameter of scholastic achievements, and (ii) to find what causes and processes such students' environments provide for students to influence their scholastic achievements.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how physical environments, process environments, visions of job, burn-out experience, etc. among various learning environments probably influencing learning of the students majoring in Hotel Management Science influence their satisfaction of school life, scholastic achievements. etc. In particular, it is one of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to assume whether satisfaction of school life functions as a parameter.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Firstly, physical environments, process environments, visions of job, etc. were all in positive (+) relation to satisfaction of school life. Burn-out experience of students, however, did not show a significant relation to satisfaction of school life. Secondly, satisfaction of school life showed a positive (+) relation to scholastic achievements. Thirdly, physical environments, process environments, visions of job, etc., except burn-out experience, also showed directly positive (+) relations to scholastic achievements. This indicates that satisfaction of school life does not function as a parameter. In other words, it is found that physical environments, process environments, visions of job, etc. are in positive (+) relations to scholastic achievements not only through satisfaction of school life, but also in a direct manner. Accordingly, it is assumed that satisfaction of school life is not an important parameter of scholastic achievements. It indicates that it is not required to primarily consider satisfaction of school life for the purpose of elevating scholastic achievements of the students majoring in Hotel Management Science and improving their learning environments. In other words, in case of the students majoring in Hotel Management Science, it is judged that satisfaction of school life is definitely an important independent parameter of scholastic achievements, but is not considered the only most primary factor for elevating scholastic achievements. Accordingly, thes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e necessity of doing best efforts to primarily consider above-mentioned parameters in school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연구결과와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공효순(Hyo-Soon Kong). (2011).환경적 요인에 의한 대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와 학업성취에 관한 연구. 유라시아연구, 8 (2), 171-187

MLA

공효순(Hyo-Soon Kong). "환경적 요인에 의한 대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와 학업성취에 관한 연구." 유라시아연구, 8.2(2011): 171-1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