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tudy on the Korea-China Cooperation for the Activation of Southwestern Coast Offshore Wind Farm: Saemangeum perspective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저자명
- 고현정(Hyun-Jeung Ko) 강태원(Tae-Won Kang)
- 간행물 정보
- 『유라시아연구』제11권 제4호, 139~15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신재생에너지 가운데 해상풍력 발전은 해상을 활용한 넓은 규모의 설치 공간 모색이 용이하고 민원문제를 극소화 할 수 있고, 기술적 완성도 및 경제성이 높아 세계 각국은 해상풍력산업에 많은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현재 영국, 덴마크 등의 유럽을 중심으로 해상풍력 터빈 설치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단일 국가로서 중국은 최대 해상풍력 시스템 설치 국가로 부상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풍력산업을 미래 신성장 동력산업으로 설정하고, 국가에너지 기본계획을 통해 서남해 2.5GW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 로드맵을 발표하였다. 또한 정부는 설치될 5MW급 거대 중량물인 해상풍력 터빈의 부품을 보관・조립하고, 현장에 설치하기 위한 지원항만으로 군산항을 지정하였다. 특히 정부의 국책사업으로 추진되고 있는 새만금 권역은 지정학적으로 환황해권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미래 동북아 신경제 중심지, 즉 녹색성장과 청정생태환경을 대표하는 글로벌 명품지역으로 육성하려는 의지가 녹아있는 지역이다. 해상풍력 전용항만이 건설될 군산항은 환황해권의 중심에 위치하고, 군산항 인근에 현대중공업, 케이엠, 데크항공 등 풍력기업이 이미 입주해 있어 풍력클러스터 형성에 용이한 장점이 있다.
중국은 재생가능에너지발전 계획에서 2020년 해상풍력발전 규모는 1,000만 kW가 넘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009년 중국의 국가에너지관리국은 해안에 위치한 11개 지역정부에 2020년 목표로 해상풍력발전 계획서를 제출하도록 하였고, 중국 동쪽 연안을 따라 즉 요녕성, 하북성, 천진, 산동성, 강소성, 상해, 절강성, 복건성, 광동성, 광서성, 해남성 등 11개성을 중심으로 대규모 해상풍력 단지를 계획하였다. 따라서 중국의 동부 해안에 건설되고 있는 해상풍력단지와 인접한 새만금은 한중간 협력 체계 구축에 유리한 입지를 점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환황해권 협력방안으로 세가지를 제시하였다.
첫째, 해상풍력시스템 한중 국제분업화 협력 체계 구축 방안이다. 해상풍력 전용항만이 건설될 군산항 인근 산업단지에는 조선소는 물론이고 풍력발전기 생산업체, 기계부품, 해양플랜트 생산 공장이 밀집돼 있다. 둘째, 군산항을 환황해권 해상풍력 물류거점으로 활용하는 방안이다. 군산항은 정부로부터 서남해안 2.5GW 해상풍력단지 지원 항만으로 지정되었고, 거대 중량화물을 처리하기 위한 하중보완, 특수장비 설치, 적치장 면적, 부두길이, 수심 등 해상풍력 전용항만 운영에 필요한 모든 요건을 갖추고 있다. 셋째, 해상풍력 글로벌 전문인력 양성 및 교류 방안이다. 군산항이 위치한 전북에는 신재생에너지인재육성센터와 다양한 해상풍력 관련 인력양성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인력양성 사업은 풍력터빈 및 해상구조물 인력양성, 풍력 전력그리드 연계기술 인력양성, 해양지반연동 풍력시스템 및 발전단지 제어 최적화 고급트랙 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적으로 서남해안 해상풍력단지를 조성하고 경제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다양한 경험과 기술 축척이 요구됨에 따라 국제협력을 통한 발전 방안 모색은 해상풍력 산업발전 뿐만 아니라 새만금 개발 및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Offshore wind power is increasingly getting attention from a number of countries since it is to not only easily find a vast area for the construction of wind farm but also minimize collective civil appeals of noise and vibration. Many countries such as UK, Denmark, Germany, China, etc thus are expanding their investment on it. Korea also aimed to foster offshore wind industry as the nation’s new growth engine and announced the project of a southwestern coast 2.5GW offshore wind farm. To facilitate the project, Korean government appointed Gunsan port for supporting the construction of the offshore wind farm, which is located in the Saemangeum area. In particular, the port will be expected to play the role of a logistics base for off-loading, storage, assembly and transportation of large-heavy wind turbines and sub-structures. In addition to the offshore wind port, offshore wind turbine related manufactures such as Hyundai Heavy Industrial Ltd. KM Co. Ltd. DACC Co. Ltd. etc have already been moved in the national industrial parks of Saemangeum-Gunsan region so that it has sufficient potential to be a strategic location for offshore wind power cluster. China has a goal to install over 10GW by 2020 according to the national plan of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In fact, China’s NEA(National Energy Administration) in 2009 requested 11 provincial governments along the east coast of China(Shanghai, Jiangsu, Zhejiang, Shandong, etc) to give in the plans of offshore wind development and finally established a national plan for large capacity offshore wind farms.
In this regard, the offshore wind farms to be installed in the east coast of China are close to Saemangeum-Gunsan area so that this paper proposed three cooperation measures with respect to the Saemangeum’s geographical advantages. First, it is to build a cooperations system of Korea-China international specialization on offshore wind power. It is explained that Jeonbuk province where shipbuilding, offshore plant, and machine part manufactures have been already running their businesses has been placed increasing pressure to clarify policy around support, subsidies, and overall framework policies. Second, it is to use Gunsan port with sufficient hinterlands and water depth as a logistical base for Korea-China wind power farms since Korea government selected it as a offshore wind support port. Finally, it is to carry forward various China-Korea professional manpower training and exchange programs. There are a few centers for the development of new and renewable energy human resource in Jeonbuk area.
Therefore, as the accumulation of knowledge and technology is needed in order to economically construct and operate the southwestern coast 2.5GW offshore wind farm, this paper suggested a good way of cooperation with China and Korea for the development of offshore wind power industry and would finally support to help the development and facilitation of Saemangeum project.
목차
Ⅰ. 서 론
Ⅱ. 해상풍력 공급사슬 체계
Ⅲ. 한중 해상풍력 동향
Ⅳ. 한중 해상풍력 협력방안
V.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남해안 해상풍력단지 활성화를 위한 한중 협력방안 연구 - 새만금을 중심으로
- 상하이 협력기구의 평가와 전망
- 대북 지원의 원조효과성 제고를 위한 다자간 신탁기금 설립 방안과 과제
- 중국기업에서 일터학습이 조직몰입과 경력만족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독일 주식시장에서의 변동성 전이
- 유럽연합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위한 거버넌스가 한국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갖는 의미 탐색
- 몽골 민주화 이행과정의 분석
- 우크라이나 민족주의 집단의 정치적 위상에 대한 연구
- 비대칭 동맹에서 방기 우려에 대한 대책: 한미 동맹의 사례
- 베이징 컨센서스 비판: 라모와 아리기의 논의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AI)과 윤리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