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Political Position of Nationalist Groups in Ukraine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저자명
- 박정호(Joung-Ho Park)
- 간행물 정보
- 『유라시아연구』제11권 제4호, 63~7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2.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독립 이후 우크라이나에서 다양한 민족주의 정치세력들이 활동하게 되었다. 그렇지만, 우크라이나의 정치과정에서 민족주의 정당들의 사회적 위상과 영향력은 상당히 미약한 수준이었다. 이러한 점은 1990년대와 2000년대 실시된 일련의 총선 결과들에서 분명하게 입증되었다.
2000년대 들어서 우크라이나 민족주의 정당들은 새로운 자구책을 강구하기 시작했다. 이 가운데 ‘Svoboda’는 2009년과 2010년 지방선거와 2012년 총선에서 큰 성공을 거두게 되었다. ‘Svoboda’ 독자적인 정치세력으로 중앙과 지방 의회에 당당하게 입성하게 되었다. 게다가, ‘Svoboda’와 같은 민족주의 정치세력들은 2013년 반정부 시위과정에서도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독립 이후 우크라이나의 정치과정 전반을 고찰해 볼 때, 정치권 내부에서 민족주의 세력은 거의 주변적인 존재에 불과했으며, 이들의 정치적 영향력도 상당히 제한적인 수준이었다고 정의할 수 있겠다. 하지만, 2000년대 이후 Svoboda의 정치적 성공과 우크라이나 반정부 시위 사태에서 민족주의 정치세력의 존재는 우크라이나 민족주의 운동사에서 매우 중요한 정치적 함의를 내포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사건들은 우크라이나에서 민족주의 정치세력에 대한 새로운 가치평가의 필요성을 제기해 주고 있다.
영문 초록
Various nationalist political forces emerged in Ukraine since independence. However, the social status and influence of the nationalist political parties were weak. This fact was clearly demonstrated in the 1990’s and 2000’s Ukrainian general elections.
In the 2000’s Ukrainian nationalist parties began to pursue a new development strategy for their future. Among these parties, ‘Svoboda’ achieved great success in 2009 and 2010 local elections and general elections in 2012. ‘Svoboda’ has entered into the central and local councils as an independent political force. In addition, Nationalist political forces such as ‘Svoboda’ have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process of anti-government protests in 2013.
If we consider the political process in Ukraine since independence, It can be concluded as follows. Nationalist forces in the political arena were just a marginal existence. It can be defined that their political influence was also quite limited. However, political success of ‘Svoboda’ and the nationalist political forces in the anti-government protest have very important political implications in the history of nationalist movement in Ukraine. These events raise the need to give it a new valuation of nationalist political forces. As a result, these cases raise the need of new evaluation for nationalist political forces in Ukraine.
목차
Ⅰ. 서 론
Ⅱ.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의 연원
Ⅲ. 1990년대 우크라이나 민족주의 정치세력의 출현과 주변화
Ⅳ. 2000년대 이후 우크라이나 민족주의 정치세력의 변화와 발전
V.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남해안 해상풍력단지 활성화를 위한 한중 협력방안 연구 - 새만금을 중심으로
- 상하이 협력기구의 평가와 전망
- 대북 지원의 원조효과성 제고를 위한 다자간 신탁기금 설립 방안과 과제
- 중국기업에서 일터학습이 조직몰입과 경력만족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독일 주식시장에서의 변동성 전이
- 유럽연합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위한 거버넌스가 한국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갖는 의미 탐색
- 몽골 민주화 이행과정의 분석
- 우크라이나 민족주의 집단의 정치적 위상에 대한 연구
- 비대칭 동맹에서 방기 우려에 대한 대책: 한미 동맹의 사례
- 베이징 컨센서스 비판: 라모와 아리기의 논의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AI)과 윤리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