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판소리 삽입가요의 활용 양상과 의의

이용수  32

영문명
Utilization and Significance of the Pansori Inserted Songs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정충권(Choong Kwon Jeong)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58집, 105~138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0.31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판소리 형성기에 가요의 삽입 혹은 삽입가요 현상이, 판소리가공연서사물로 자리잡는 데 중요한 작용을 했을 것이라 추정하였다. 이의 검증을위해 삽입가요의 기능, 활용 및 변모 양상 등을 살폈다. 우선, 서사 단락을 대체하거나 장면을 구체화하기 위해 삽입가요를 활용하는 일이 서사시로서 효율적인 작시법이었음을 지적하였다. 다음으로는 삽입가요의 활용 양상을 살펴 보았다. 삽입되기 전 가요의 맥락과, 삽입된 후 가요의 서사층위와 공연 층위 관련 如何 등에 초점을 맞추어 크게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보았는데, 1)가요가 삽입된 후에도 문맥상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유형, 2)삽입 후작중 인물의 담화로 이어지나 다른 한편으로는 삽입한 작자-창자의 그 나름대로의 의도가 있다고 여겨지는 유형, 3)삽입 후에도 가요의, 공연 층위상의 향유가 전면적으로 부각된 유형, 4)가요가 서술자의 담화로 삽입되어 작품 내적으로는 묘사의 역할을 하나 외적으로는 그 나름대로의 興을 불러 일으키는 유형 등이 그것들이다. 이어서 삽입가요들의 후대적 변모 중 특징적인 것 두 가지를 살펴 보았다. 공연층위의 소통이 중시되어 가요의 사설이 독립성을 부여 받거나, 서사 층위의 정보전달이 중시되어 작품 속 서사 정보가 가요의 사설에 대거 끼어들거나 한 경우가 대표적이었다. 요컨대 형성기 판소리때의 가요 삽입 혹은 삽입가요 현상은 창자와 청중의 공연서사시 장르 인식에 있어 중요한 매개 장치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높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ssumed that the insertion of songs or inserted songs during the formative period of Pansori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establishing Pansori as epic poetry. To verify this, the functions, operations, and transformations of the inserted songs were examined. First, it was identified that using inserted songs to replace narrative paragraphs or specific scenes was an efficient compositional method for epic poetry. Next, the use of inserted songs was examined. Focusing on the context of the songs before insertion and the narrative and performance levels of the songs after insertion, this study roughly categorized them into four types: 1) the songs continue naturally in context even after insertion; 2) the songs are appropriately connected to the character's discourse in the work after insertion, but is considered an intention of the inserting author-performer; 3) the enjoyment of the performance level of the songs is fully highlighted even after insertion; and 4) the songs are inserted into the narrator's discourse, internally playing a descriptive role in the work but externally arousing their own interest. Next, we examined two characteristic changes that occurred during the later years of the inserted songs. The most representative cases were when the communication of the performance layer was emphasized, and the song’s words were granted independence, or when the information delivery of the narrative layer was emphasized, and the narrative information in the work was largely inserted into the song’s words. In short, the insertion of songs or inserted songs during the formative period of Pansori is likely to have played an important mediating role in the recognition of the performance epic genre by the singer and the audience.

목차

1. 서론
2. 삽입가요의 기능과 담화 층위
3. 공연서사물로서 본 판소리 삽입가요의 활용 양상과 변모 양상
4. 공연서사물로서 본 판소리 삽입가요의 의의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충권(Choong Kwon Jeong). (2024).판소리 삽입가요의 활용 양상과 의의. 판소리연구, (), 105-138

MLA

정충권(Choong Kwon Jeong). "판소리 삽입가요의 활용 양상과 의의." 판소리연구, (2024): 105-1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