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Uncanny Future of the Anthropocene
이용수 35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비평이론학회
- 저자명
- 김지희(JeeHee Kim)
- 간행물 정보
- 『비평과 이론』제29권 3호, 151~17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인류세의 미래를 이해하는 것의 어려움을 프로이트의 언캐니 이론을 적용하여 주체와 기억 간의 분리 및 시간의 문제와 관련해 논의한다. 기억이 갖고 있는 지역성, 개인성, 그리고 과거에서 현재로 이어지는 실재성에 반하여, 기후위기는 탈지역성, 인류의 공동성, 그리고 미래를 향하고 있는 가설적인 방향성을 통해 논의되어 왔다. T.J. Demos가 지적하듯, 기후변화는 단순한 생산활동의 결과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석유자본주의 그리고 식민주의처럼 폭력을 승인하는 이데올로기에 기반을 둔 선택들이 이어짐으로써 만들어진 흐름이다. 본 연구는 『인류세에 반대하여』에서 T.J. Demos가 인류세 논의에 대해 제기하는 문제들 중, 인류세 논의가 특정 집단과 시스템이 져야 할 책임을 희석시킨다는 주장을 면밀히 검토하고. 탈식민주의적 접근을 통해 이를 극복할 수 있는지 검토할 것이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와 인류세 논쟁을 ‘언캐니’ 이론을 통해 재고함으로써, 아직 도래하지 않은 미래의 시간성을 이미 일어난 과거의 기억을 통해 구성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최근 알프스의 빙하가 녹으면서 드러나는 과거의 순간들을 ‘언캐니’라는 개념적 틀로 이해하는 것에서 출발해, 기후변화와 인류세 논의에 동반되고 있는—‘아직 도래하지 않은 미래’라는—시간성을 과거의 기억과 그것이 갖는 역사성을 통해 바라보고 기존의 인식의 틀을 바꾸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영문 초록
This essay will go over the basic notions of the uncanny while addressing the distance and the alienation of subject from the very concept of time in the imagination of the future in the age of Anthropocene. In fact, the two trajectories of time, namely past and future, overlap as the uncanny reflection of each other. It is by paying attention to the phenomenon and the consequence of the melting of glacier of the Alps that this essay attempts to remap the basic concepts of time, which consists of two kinds of engagements to historicization, namely remembering and anticipating. This essay argues that our failure to imagine the future is connected to the repressed memory of the colonial experience. In other words, the unveiling of the mountain as a result of global warming shows that our historical time is moving towards its own end, demanding us to address the issues that are repressed in our culture that allows all kinds of extractions. The time of Anthropocene is now bridging the gap between the location of death and the location of life with the force that can be best addressed as the uncanny return of the repressed voic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혐오의 정치를 넘어선 연대를 위한 포스트휴머니즘
- 비평과 이론 제29권 3호 목차
- The Uncanny Future of the Anthropocene
- Disability Arts and Disability Aesthetics
- 수학적 형식주의: 물질의 빌둥스로만
- 마주침의 사유, 동물-되기, 문학의 에피파니: 앨리스 먼로의 「남자아이와 여자아이」
- 아감벤의 예술(art)과 랑시에르의 감각학(aesthetics) 비교 연구
- Ambiguous AI: Lossy Compression, Model Collapse, and Intercultural Sensitivity
- Time in Heidegger’s Being and Time: A Reading
- 루드비히 티크의 「요정들」을 통해 읽는 ‘타자’와 ‘환대’의 문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