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혐오의 정치를 넘어선 연대를 위한 포스트휴머니즘
이용수 335
- 영문명
- Posthumanism for Solidarity Beyond Politics of Disgust
- 발행기관
- 한국비평이론학회
- 저자명
- 한광택(Kwangtaek Han)
- 간행물 정보
- 『비평과 이론』제29권 3호, 123~15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0.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현대 민주주의가 직면한 혐오의 정치와 그에 대한 대안으로서의 연대 가능성을 포스트휴머니즘적 관점에서 고찰한다. 특히 혐오와 연대의 문제가 단순한 인간 감정이나 정치적 협력의 차원을 넘어 복잡한 사회정치적 함의를 지닌 현상임을 규명하며, 인본주의가 전제하는 자율적 주체 개념의 근본적 한계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최근의 신경과학적 발견들은 뇌의 가소성이 사회문화적 실천과 긴밀하게 연동되어 작동하며 정동의 신경생물학적 기제가 사회정치적 맥락 속에서 지속적으로 재구성됨을 논의한다. 이는 혐오가 불가피한 보편적 현상이 아닌 뇌의 양가적이고 복합적인 가소성의 필연적인 결과물이며 연대의 생물학적이며 정치생리학적 가능성 역시 뇌의 가소성의 복잡성 차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는 것이 본고의 논점이다. 본 논문은 포스트휴머니즘적 패러다임에서 진정한 연대가 차이와 불일치 및 혐오의 (불)가능성을 적극적으로 긍정하는 지점에서 재구성되어야 하며 이러한 전환이 현대 민주주의의 존립과 직결되는 당위적 과제라는 결론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politics of disgust facing contemporary democracy and the possibility of solidarity as its alternative from a posthumanist perspective. It demonstrates that the issues of disgust and solidarity extend beyond mere human emotions or political cooperation, encompassing complex sociopolitical implications, while critically examining the fundamental limitations of the autonomous subject concept presupposed by humanism. Recent neuroscientific findings reveal that brain plasticity operates in close conjunction with sociocultural practices, and the neurobiological mechanisms of affect are continuously reconstructed within sociopolitical contexts. This suggests that disgust is not an inevitable universal phenomenon but rather a component of brain plasticity, and the biological possibility of solidarity should also be understood in terms of the complexity of brain plasticity. The study concludes that within the posthumanist paradigm, genuine solidarity must be reconstructed at the point of actively affirming difference, discord, and the (im)possibility of disgust, and that this transition is an imperative task directly linked to the survival of contemporary democracy.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혐오의 정치를 넘어선 연대를 위한 포스트휴머니즘
- 비평과 이론 제29권 3호 목차
- The Uncanny Future of the Anthropocene
- Disability Arts and Disability Aesthetics
- 수학적 형식주의: 물질의 빌둥스로만
- 마주침의 사유, 동물-되기, 문학의 에피파니: 앨리스 먼로의 「남자아이와 여자아이」
- 아감벤의 예술(art)과 랑시에르의 감각학(aesthetics) 비교 연구
- Ambiguous AI: Lossy Compression, Model Collapse, and Intercultural Sensitivity
- Time in Heidegger’s Being and Time: A Reading
- 루드비히 티크의 「요정들」을 통해 읽는 ‘타자’와 ‘환대’의 문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