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감벤의 예술(art)과 랑시에르의 감각학(aesthetics) 비교 연구

이용수  170

영문명
A Comparative Study on Agamben’s Art and Rancière’s Aesthetics
발행기관
한국비평이론학회
저자명
구자광(Jakwang Gu)
간행물 정보
『비평과 이론』제29권 3호, 5~3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어문학 > 영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0.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감벤의 예술과 랑시에르의 감각학에 대한 비교 연구를 통하여 아감벤은 예술을 통하여 랑시에르는 감각학을 통하여 새로운 공동체에 대한 사유를 제시한다는 것을 주장하고자 한다. 아감벤은 플라톤의 감각-무감각 관계에 대한 논의로부터 출발한다. 아감벤은 플라톤의 패러다임의 사유가 아리스토텔레스 이래로 묻혀왔다고 판단하고 플라톤의 감각-무감각의 관계에 의한 패러다임의 사유로 다시 돌아갈 것을 주장한다. 플라톤에 비판적인 랑시에르는 플라톤에 의한 공동체 중심의 감각 분배 방식에 대한 비판적 논의로부터 시작한다. 랑시에르는 플라톤의 감각 통제방식이 감각의 분배 방식을 제한하여 공동체의 삶의 방식도 정해왔다고 비판한다. 아감벤은 플라톤의 감각-무감각의 단계를 구현하는 예술을 통하여 삶-의-형식을 복구하여 도래할 공동체로 나아갈 것을 주장한다. 랑시에르의 감각학은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한 감각 분배 방식을 해체하여 감각을 전제없이 수용하는 방식에 의한 삶의 공동체를 구축한다. 아감벤은 무-감각의 ‘무’(an-)를 통하여 새로운 공동체가 도래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랑시에르는 감각의 ‘탈-’(dis-)을 통하여 감각의 공동체가 구성됨을 주장한다. 아감벤의 ‘무’와 랑시에르의 ‘탈-’은 모두 주체없는 주체가 수행하는 주체화 과정이다.

영문 초록

A comparative study on Agamben’s art and Rancière’s aesthetics will bring an understanding that Agamben proposes a new community through art and Rancière presents an idea of a new community through aesthetics. Agamben starts with Plato’s presentation of paradigm based on the relation between aisthesis and an-aisthesis which has been forgotten since Aristotle. Agamben claims to recuperate Plato’s paradigm with the relation between aisthesis and an-aisthesis. Rancière, critical of Plato, begins with a critique of Plato’s community-centered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Rancière raises a critique of Plato with the claim that Plato’s method of distributing the sensible delimits and determines ways of life in community. Agamben’s art accommodating the relation between the sensible and the in-sensible will present a way leading to coming community with recuperation of form-of-life. Rancière’s aesthetics dis-mantles Plato’s and Aristotle’s methods of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by responding to the sensible without any presupposition, which will establish coming community of the sensible. Agamben proposes in-operativity as in an-aisthesis in Plato, which will bring in coming community. Rancière believes that through ‘dis-’ of the sensible, coming community of the sensible will come into being. Agamben’s ‘in-’ and Rancière’s ‘dis-’ are performed during subjectification by subject-less subjects.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아감벤의 감각-무감각/‘작동 중지’-주체화/도래할 공동체
Ⅲ. 랑시에르의 감각학/탈-주체성/도래할 사람
Ⅳ. 아감벤 vs. 랑시에르
인용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구자광(Jakwang Gu). (2024).아감벤의 예술(art)과 랑시에르의 감각학(aesthetics) 비교 연구. 비평과 이론, 29 (3), 5-31

MLA

구자광(Jakwang Gu). "아감벤의 예술(art)과 랑시에르의 감각학(aesthetics) 비교 연구." 비평과 이론, 29.3(2024): 5-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