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교 행정학과 학생의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전공-직무일치 취업 및 직장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용수 32
- 영문명
- A Study on the Major Selection Motivation, Major Satisfaction, Major-Job Congruence Employment, and Workplace Satisfaction of Public Administration Students at University
- 발행기관
- 한국인사행정학회
- 저자명
- 김상묵(Sangmook Kim) 노종호(Jongho Roh)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사행정학회보』제23권 제3호, 65~9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많은 행정학과 학생들은 공공분야로 진출하기 위해 전공과 직업 간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행정학을 전공으로 선택한다고 여겨진다. 하지만, 이러한 전공선택동기가 사실인지, 학생들은 전공에 만족하는지, 전공에 맞는 취업을 하는지, 직장에는 만족하는지 등 행정학과 학생들의 대학생활과 취업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아직 미흡하다. 이 연구는 2017년부터 2020년까지 4년간 실시된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중에서 행정학과 졸업생 표본(N = 1,103)을 활용하여 4년제 대학교 행정학과 학생들의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전공-직무일치 취업, 직장만족도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행정학 교육에 대한 함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본인의 적성 및 흥미와 같은 내재적 동기에 기반하여 전공을 선택한 학생들의 전공만족도가 높고, 전공만족도는 전공-직무일치 취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전공과 직무가 일치할수록 직장만족도가 높았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행정학과 교육에의 함의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It assumes that many public administration students select public administration as a major in consider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ir major and job in order to advance into the public sector. But, there is still insufficient empirical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ity life and the employ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students, such as whether this motivation for choosing a major is true, whether students are satisfied with their major, whether they find a workplace matching with their major, and whether they are satisfied with workplaces. This study uses a sample of public administration graduates(N=1,103) from the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conducted for four years from 2017 to 2020 to empiric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major selection motivation, major satisfaction, major-job congruence employment, and workplace satisfaction of public administration students at four-year universities, and to obtain implications for public administration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students who chose their major based on intrinsic motivations such as their aptitude and interest have the higher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and major satisfa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employment that matches their major and job, and the more their major and job matched, the higher their workplace satisfac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study, it discusse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public administration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설계
Ⅳ. 분석 결과
Ⅴ. 토 론
Ⅵ.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교 행정학과 학생의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전공-직무일치 취업 및 직장만족도에 관한 연구
- Perceptions and Punishments of Grey Corruption: In-Group Bias and Self-Justification
- 변화관리 인식과 변혁적 리더십이 공무원 이직의도에 미치는 조절효과 분석 연구: 조직 내 외재적 동기 선행요인 영향성 검토를 바탕으로
- 스마트워크와 주관적 업무성과: 업무자율성 인식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직업군인이 병사집단에 대해 느끼는 상대적 박탈감과 공공봉사동기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조직냉소주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디지털게임연구 제1권 제1호 목차
- 비주얼 노벨 게임의 장르적 정체성과 매체 특수성 연구: 미스터리·호러 장르를 중심으로
- 매직서클을 형성할 수 없는 여성 게이머들: 여성 게이머와 규범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