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변화관리 인식과 변혁적 리더십이 공무원 이직의도에 미치는 조절효과 분석 연구: 조직 내 외재적 동기 선행요인 영향성 검토를 바탕으로
이용수 199
- 영문명
- An examination of the moderating effects of change management perceptions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civil service turnover intentions: An examination of the influence of extrinsic motivational antecedents in organizations
- 발행기관
- 한국인사행정학회
- 저자명
- 하선우(Seonwoo Ha) 이가빈(Gabeen Lee) 박성민(SUNG MIN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사행정학회보』제23권 제3호, 21~64쪽, 전체 4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8,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대한민국에서 공채 공무원 시험 경쟁률의 감소와 더불어 공무원 직종에 대한 사회적 인기는 하락하는 추세이며, 퇴직하는 저연차 공무원들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공직 선호도의 감소와 신규 공무원들의 퇴직 증가 현상은 장단기적으로 공공부문의 인력 부족과 행정의 부실화를 초래할 수 있기에 경계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한국행정연구원의 ‘2022년 공직생활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공직사회 구성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보수·보상 만족도와 후생복지 만족도에 주목하여 공무원 이직심리를 살펴보고, 변화관리 인식과 변혁적 리더십이 가지는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보수·보상만족도와 후생복지 만족도는 공무원의 이직의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으며, 조절변수인 변화관리 인식과 변혁적 리더십 역시 모두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 분석 결과 높은 변화관리 인식은 보수·보상만족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부(-)의 영향력을 약화시키는 반면, 후생복지 만족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강한 변혁적 리더십의 경우, 후생복지 만족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부(-)의 영향력을 강화시켰으나, 보수·보상만족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력과는 관계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공직 내 변혁적 리더의 필요성과 변화를 긍정적으로 수용하는 문화 확립에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전략적인 인사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이론적·정책적 함의점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In South Korea, the social popularity of public service jobs has been declining, with a decrease in the number of competitive exams, and the number of low-seniority public servants retiring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The declining popularity of public service and the increasing number of retirements of new public servants should be watched closely, as they could lead to a shortage of public sector labor and deterioration of public administration in the short and long term. This study examines the turnover psychology of public servants by focusing on compensation and reward satisfaction and welfare satisfaction as factors that influence the turnover intention of public servants, and examines the moderating effects of change management perceptions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compensation and benefits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and the moderating variables, change management perception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oth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he moderating effect analysis showed that high change management perception weakened the negative effect of compensation and reward satisfaction on turnover intention, whil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with the effect of benefits satisfaction on turnover intention. For strong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enefits satisfaction strengthened the negative effect of wealth on turnover intentions, but had no relationship with the effect of compensation and reward satisfaction on turnover inten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confirms the need for transformational leaders in the public service and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a culture that positively accepts change, and suggests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building a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 설계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교 행정학과 학생의 전공선택동기, 전공만족도, 전공-직무일치 취업 및 직장만족도에 관한 연구
- Perceptions and Punishments of Grey Corruption: In-Group Bias and Self-Justification
- 변화관리 인식과 변혁적 리더십이 공무원 이직의도에 미치는 조절효과 분석 연구: 조직 내 외재적 동기 선행요인 영향성 검토를 바탕으로
- 스마트워크와 주관적 업무성과: 업무자율성 인식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직업군인이 병사집단에 대해 느끼는 상대적 박탈감과 공공봉사동기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조직냉소주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