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짜라투스트라의 당나귀는 이렇게 말했다: 이-아 : 어느 비루한 짐승의 중심적 역할에 대한 구조적 분석

이용수  21

영문명
Also sprach der Esel Zarathustras: Ein Versuch über die Hauptrolle eines armseligen Tiers
발행기관
한국니체학회
저자명
이정하(Jeongha Lee)
간행물 정보
『니체연구』제46집, 259~300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의 과제는 니체의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 등장하는 한 동 물의 의미와 역할을 탐구하는 것이다. 당나귀의 역할은 2가지 측면에서 분석된 다. 한 가지 측면은 이 철학적 극 텍스트의 등장인물 중 하나로서이고, 다른 한 가지 측면은 니체의 전작 『즐거운 학문』으로 건너가는 해석학적 연결고리로서 이다. 전자의 텍스트에서 당나귀의 성격은 수동적이고 순응적인 낙타의 그것과 도 다르고, 말 없는 (대사 없는) 다른 동물들의 그것과도 다르다. 당나귀는 ‘이-아’ 라는 말로써 적극적으로 자신의 부정적인 의사를 표명하지만, 인간들은 그것을 긍정의 말로 알아들을 뿐이다. 그 다음으로는 당나귀의 울음소리 ‘I-A’를 소쉬르의 아나그람 연구를 분석 기 법 삼아 해석한다. 이 단초를 따라가면서 본 논문은 『짜라투스트라』가 『즐거운 학문』과 내용적, 기호학적으로 서로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단일한 텍스트임 을 보여준다. 요컨대 ‘I-A’는 이 두 텍스트를 결합해주는 단초이자 해석학적 순환 을 이루는 두 텍스트의 톱니바퀴 중 하나인 셈이다.

영문 초록

Im vorliegenden Arbeit wird die Rolle eines Tiers aus Nietzsches Also sprach Zarathustra untersucht: der Esel. Sie wird, grob gesagt, aus zwei Aspekte analysiert, und zwar einerseits als ein von gesamten Dramatis Personae des philosophischen Dramen-Textes und anderseits gleichsam als insgeheime Brücke zum vorgehenden Text des Philosophen, Die fröliche Wissenschaft. Im Dramen von Zarathustra ist der Charkater des Esels sowohl von dem des passiven und jasagenden Kamels als auch von dem des jeglichen stummen Tiers unterschieden. Denn der Esel zeigt seine Ansichten und Ausdrücke mehr als deutlich bzw. aktiv. Daher könnte man ihm dazu berechtigen, nicht den Dramatis animalis gehören, sondern den Dramatis Personae. Im gewissen Sinne wäre es möglich zu formulieren, der Esel sei höher als den höheren Menschen. Im zweiten Teil dieser Arbeit wird sein Wort „I-A“ mit einem text- analytischen Zugang, den am Anfang des 20. Jahrhunderts Ferdinand de Saussure initiert hat: die Anagramme. Dadurch wird gezeigt, dass sich die beiden Texte, Zarathustra und die fröliche Wissenschaft, miteinander verkoppeln und ineinander verzahnen. Das Wort „I-A“ funktioniert, mit anderen Worten, als Ansatz bzw. Gelenk, dessen mithilfe sie einen hermeneutischen Zirkel ausmachen.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본론: 당나귀 ‘이-아’의 극적, 구조적 의미와 역할
3.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정하(Jeongha Lee). (2024).짜라투스트라의 당나귀는 이렇게 말했다: 이-아 : 어느 비루한 짐승의 중심적 역할에 대한 구조적 분석. 니체연구, (), 259-300

MLA

이정하(Jeongha Lee). "짜라투스트라의 당나귀는 이렇게 말했다: 이-아 : 어느 비루한 짐승의 중심적 역할에 대한 구조적 분석." 니체연구, (2024): 259-3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