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쇠퇴지역의 재생과 관광화 사이에서
이용수 8
- 영문명
- Between the Regeneration and Tourism of Declined Area: a Case of the Suamgol in Cheongju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중원문화연구소
- 저자명
- 윤현위(Hyun wi Yoon)
- 간행물 정보
- 『중원문화연구』제30집, 263~28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청주 상당구 수동에 위치한 수암골은 6.25 이후 피난민들에 의해서 형성된 지역으로 2000년대 초반까지 큰 주목을 받지 못하다가 2008년에 벽화마을이 조성되고 드라마 촬영지로 소개되면서 많은 관광객들이 방문하는 지역으로 변모하였다. 방문객들의 증가로 편의시설이 증가하는 등 관광화를 경험하였으나 수암골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정주환경은 크게 개선되지 않은 상황이다. 향후 도시재생사업에서는 주민들의 커뮤니티형성을 위한 사업과 더불어 주민들의 거주환경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수암골의 주거환경의 향상을 위해서는 공공주도의 저층형 공동주택이 우선 고려되어야 하며 6.25와 관련된 역사자원 혹은 흔적들을 발굴하고 청주가 보유하고 있는 6.25 관련 시설들과 연계해 기억의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정책과 사업의 방향설정이 필요한 시점이다.
영문 초록
Suamgol, located in Sudong-dong, Sangdang-gu, Cheongju, was formed by refugees after June 25, and did not receive much attention until the 2000s, but was transformed into an area visited by many visitors when a mural village was created and introduced as a filming location for dramas in 2008. Although tourism has been experienced, such as an increase in convenience facilities due to an increase in visitors, the settlement environment of residents living in Suamgol has not improved significantly. In futur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measures should be sought to impro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residents along with projects to form communities for residents. For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Suamgol, the residential environment centered on public-led low-rise apartments should be improved, and policies and projects should be set to be used as a memory space to discover historicity related to 6.25 and connect facilities owned by Cheongju.
목차
Ⅰ. 서론
Ⅱ. 벽화마을과 수암골 관련 선행연구
Ⅲ. 수암골의 주거환경과 변화
Ⅳ. 수암골 도시재생의 결과와 한계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