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린이 철학(PfC)에서의 사고, 철학, 그리고 페다고지: PfC에 대한 비에스타의 비판과 그레고리&래버티의 논박을 통하여
이용수 33
- 영문명
- Thought, philosophy, and pedagogy in Philosophy for Children: Through Biesta’s critique of PfC and Gregory & Laverty’s refut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회
- 저자명
- 박찬영(Chan Young Park)
- 간행물 정보
- 『교육철학』제42권 제3호, 105~12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립먼의 어린이 철학(PfC)은 사고의 철학이자 사고를 가르치는 페다고지로서 그 핵심은 '사고'에 있다. 립먼은 듀이처럼 반성적 사고를 중시하였지만. 그는 반성적 측면뿐 아니라 배려적, 비판적, 창조적 차원으로 분화시켜 듀이의 사고 개념을 확장했다.
PfC 철학은 상호작용과 탐구를 중시하고, 보증된 주장과 맥락적 합당성을 강조하며, 윤리적 탐구에서도 듀이 철학과 유사성을 보인다. 따라서 PfC 철학을 휴머니즘이라고 규정하는 비에스타의 비판은 적실성이 없다. 오히려 PfC의 철학은 포스트휴머니즘과 양립 가능한 측면도 적지 않다.
끝으로 PfC 페다고지는 PfC의 철학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다만, 페다고지 차원에서 PfC는 페다고지의 속성상 교사와 실천가의 역할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결국, PfC 페다고지가 PfC 철학의 지평 속에서 현실 속에서 탐구되고 검증되는 맥락적 실천 이론으로서 충분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가 중요한 질문이다.
영문 초록
The Lipman’s Philosophy for Children (PfC) is a philosophy of thinking and a pedagogy that teaches thinking, and its core lies in ‘thinking’. Like Dewey, Lipman placed emphasis on reflective thinking, but he expanded Dewey's concept of thinking by differentiating thinking into not only the reflective aspect but also the considerate, critical, and creative dimensions.
PfC philosophy emphasizes interaction and inquiry, emphasizes warranted claims and contextual justification, and shows similarities to Dewey philosophy in ethical inquiry. Therefore, Biesta’s critique of PfC as a form of humanism lacks relevance. In fact, PfC’s philosophy has aspects that are compatible with post-humanism.
Finally, the pedagogy of PfC is closely connected to its philosophy. However, in terms of pedagogy, PfC can vary depending on the roles of teachers and practitioners due to the nature of pedagogy itself. Ultimately, the key question is whether PfC pedagogy functions effectively as a contextual practice theory, thoroughly explored and validated in the real world, within the broader horizon of PfC philosophy.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사고
Ⅲ. 철학
Ⅳ. 페다고지
Ⅴ. 나가며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