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포스트휴먼 시대, 리터러시 교육의 존재론적 재구성

이용수  78

영문명
Ontological Reconstruction of Literacy Education in the Posthuman Era
발행기관
한국교육철학회
저자명
이승형(Seung Hyung Lee)
간행물 정보
『교육철학』제42권 제3호, 1~1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NT), 해체주의, 리좀 사유 등 포스트휴먼 이론을 비판적으로 재구성하여 리터러시 교육의 존재론적 지평을 확장하고, 포스트휴먼 시대의 리터러시 교육이 취해야 할 방향성과 실천 전략을 탐색한다. 리터러시 현상에 관여하는 인간-사물의 네트워크, 언어적 실천의 수행적이고 유희적인 본질, 주어진 문식 질서로부터 끊임없이 일탈하며 차이를 생성해 내는 리터러시 과정의 특징 등을 조명함으로써, 리터러시를 둘러싼 존재론적 전환을 시도하고 그것의 교육적 함의를 천착한다. 특히 기존 리터러시 교육 및 국어교육 담론과의 접점과 긴장, 그리고 한국적 교육 맥락에의 적용 가능성과 한계를 자세히 검토한다. 이를 통해 포스트휴먼 리터러시 교육론이 직면한 실천적 딜레마를 성찰하고, '우리는 왜 리터러시를 가르치고 배워야 하는가?'라는 규범적 질문에 대한 답변을 모색한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급변하는 사회기술적 조건 속에서 리터러시의 의미를 성찰하고 교육의 존재 이유를 재점검하며 더 폭넓은 소통과 연대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철학적 모험을 시도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reconceptualizes literacy education through posthuman theories like Actor-Network Theory, deconstruction, and rhizomatic thinking. It explores the ontological shift in literacy and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in the posthuman era, examining human-nonhuman actor networks, performative linguistic practices, and deviant literacy processes. The research investigates the applicability of these theories in the Korean context and addresses practical challenges in the educational field. It highlights dilemmas faced by posthuman literacy education theories, including resistance to maintain human uniqueness, risks of aestheticizing difference, and value relativization. The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addressing why literacy should be taught and learned, exploring education's human-centeredness, communication orientation, and social justice foundation. It calls for deconstructing the autonomous human subject while maintaining subjectification, acknowledging language's arbitrariness without abandoning mutual understanding, and resisting dominant literacy orders while preserving solidarity and practice. This work aims to inspire new perspectives on literacy education and encourage deeper exploration of human and educational values in the posthuman era.

목차

Ⅰ.서론
Ⅱ. 포스트휴먼 리터러시 담론의 계보학과 주요 쟁점
Ⅲ. 포스트휴먼 리터러시 교육의 존재론적 전환과 교육적 적용: 한국적 맥락의 탐색
Ⅳ. '포스트휴먼'과 '리터러시' 접속의 규범적·윤리적 쟁점과 과제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승형(Seung Hyung Lee). (2024).포스트휴먼 시대, 리터러시 교육의 존재론적 재구성. 교육철학, 42 (3), 1-19

MLA

이승형(Seung Hyung Lee). "포스트휴먼 시대, 리터러시 교육의 존재론적 재구성." 교육철학, 42.3(2024): 1-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