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 원어민 영어 회화 강사의 정체성 탐구
이용수 8
- 영문명
- The identity of native English conversation instructors
- 발행기관
-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구 영남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영인(Youngin Kim) 김규미(Gyumi Kim)
- 간행물 정보
- 『영어교육연구』제36권 3호, 75~9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how the identities of native English-speaking teachers evolved through their cultural and educational experiences in Korea, and examined the implications of these experiences. Three teachers from different countries participated in the study. Two teachers (Ann and Sam) taught English at the same university, while the third teacher (Dick) taught in a different city. Data were collected using a triangulation of interviews, questionnaires, and classroom observations. The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constant comparative methods and thematic analysis. Themes were derived from the raw data by coding, which involved repeatedly reading and categorizing the data. Initially, 19 categories were identified, which were later condensed into 4 main categories through a second round of coding.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1) the teachers viewed themselves as guests or outsiders who did not fully belong to Korean society; (2) during their stay in Korea, the teachers needed to become more adaptable despite the challenges posed by cultural and linguistic differences; (3) they learned to adjust to the environment and became more flexible to meet students’ expectations, eventually becoming comfortable outsiders; and (4) the teachers felt empowered in their roles, as they were able to make a positive impact on their students and received acknowledgment from their colleagues. The study also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원어민 영어 회화 강사의 정체성 탐구
- Examining the factors for an optimal language classroom environment with technology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국내·외 영어교육 연구동향 분석: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및 토픽 모델링 활용
- 중등예비교사 학생들의 영어 작문 평가자로서의 가능성과 문제점 탐구
- Educators’ perceptions on the use of Edu-Tech in the EFL context: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of English teachers in higher education
-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직접 등급 함축과 간접 등급함축 해석 차이에 관한 연구
- 한국인 영어 학습자와 영어 원어민의 말하기 조정: 문장 단위 발화에 대한 성별의 영향
참고문헌
- 교사교육연구
- 한국연구재단 연구보고서
- 총신대학교
- 중등영어교육
- 아주대학교
- 교육논총
- 한국교원교육연구
- 영어학
- 경남대학교
- 한국초등교육
- Bulletine of Advanced English Studies
-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 In G. Braine (Ed.), Non-native educators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 Cambridge Journal of Education
-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 In W. H. Holtzman & T. H. Bornemann (Eds.), Mental health of immigrants and refugees
- Routledge Falmer
- 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 In R. Harré & L. van Langenhove (Eds.), Positioning theory
- TESOL Quarterly
- Routledge
- Aldine Publishing
- System
- Teacher Education Quarterly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 British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 Paper presented at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 Journal of the Korea English Education Society
- Korean Journal of Applied Linguistics
- Journal of Language Sciences
- Practical Anthropology
- SAGE
-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 TESOL Quarterly
- Longman
- RELC Journal
- In M. Cochran-Smith, S. Feiman-Nemser, D. J. McIntyre, & K. E. Demers (Eds.),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 Merril Prentice Hall
- Social Information
- TESOL Quarterly
- Higher Education Research & Development
- Journal of Language, Identity, and Education
- Blackwell
- Cambridge University Press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