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국내·외 영어교육 연구동향 분석: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및 토픽 모델링 활용
이용수 50
- 영문명
-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trends in English education research in the post-COVID-19 era: Utilizing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 발행기관
-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구 영남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성희(Sunghee Kim) 안혜성(Hyeseong Ahn) 조윤경(Yunkyoung Cho)
- 간행물 정보
- 『영어교육연구』제36권 3호, 51~7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post-COVID-19 trends in English education research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It analyzes 543 domestic articles from the Korean Citation Index (KCI) and 402 international articles from SPRINGER, published between 2020 and 2024. The research uses tools like NetMiner 4.4.8 for network analysis and Biblio Data Collector for data collection. Word cloud and keyword frequency analyses identify central themes and methodologies. Findings reveal that domestic research focuses on program development, textbook creation, and learner perceptions, while international studies emphasize higher education, technology integration, and policy development. Both domain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digital literacy and online learning. Network analysis identifies core topics and their interrelationships, with centrality measures indicating ‘method’, ‘development’ and ‘practice’ as pivotal. Domestic studies frequently feature ‘program’ and ‘textbook’, while international research often includes ‘university’ and ‘technology’. The study underscores the need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and innovative technologies, providing insights into the evolving landscape of English education research. Additionally, increased frequency of keywords like ‘AI’ and ‘curriculum’indicates growing interest in integrat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revising curricula to meet new challenges. This comprehensive analysis offers a foundation for enhancing English education practices globally.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대학 원어민 영어 회화 강사의 정체성 탐구
- Examining the factors for an optimal language classroom environment with technology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국내·외 영어교육 연구동향 분석: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및 토픽 모델링 활용
- 중등예비교사 학생들의 영어 작문 평가자로서의 가능성과 문제점 탐구
- Educators’ perceptions on the use of Edu-Tech in the EFL context: Collaborative autoethnography of English teachers in higher education
-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직접 등급 함축과 간접 등급함축 해석 차이에 관한 연구
- 한국인 영어 학습자와 영어 원어민의 말하기 조정: 문장 단위 발화에 대한 성별의 영향
참고문헌
- 영어교육
- 응용언어학
- 한국교육학연구
- 영어교육연구
- 교육논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영어교육
- 언어연구
- Journal of Research and Innovation in Language
- Interactive Learning Environments
- Journal of English Teaching, Literature, and Applied Linguistics
- Front. Educ
- Information and Learner Science
-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 Communications of the ACM
- Journal of Machine Learning Research
- Computers & Education
- Language Learning & Technology
- English Language Teaching Journal
-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Education: Research
- Sociometry
- Social Networks
- Computer Assisted Language Learning
- Sociological Methodology
-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 Studies in the Education of Adults
- Journal of Language Teaching and Research
- Journal of Innovation in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 TESOL Quarterly
- Psychometrika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지원대상학생 및 장애 학생 교육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경험
- 읽기장애 조기 진단을 위한 AI 기반 인지진단모형(Cognitive Diagnostic Model) 연구
- 경계선급 지적 기능 고등학생의 진로 및 진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