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교사의 IB 교육과정 탐색 경험에 관한 다중사례연구: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사를 중심으로

이용수  113

영문명
A Multiple Case Study on Elementary Teachers’ Experiences of Exploring the IB Curriculum: Focusing on Teachers in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발행기관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저자명
이성심(Sungsim Lee) 김수영(Suyoung Kim)
간행물 정보
『교육과학습: Global Creative Leader』제14권 3호, 101~12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IB 교육과정을 탐색한 초등교사의 동기 및 인식의 변화, 교육적 시사점을 탐색함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IB 교육과정 탐색에 참여한 서울시 초등교사 13명을 대상으로 서면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를 위해 수집한 자료는 주제 분석 방법으로 분석되었으며, 초등교사의 IB 교육과정 탐색 경험을 바탕으로 이들의 동기 및 인식의 변화와 요구를 도출하여 도식화하여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IB 교육과정을 탐색한 초등교사들의 탐색 전, 탐색 후 변화, 실천을 위한 지원의 3개 상위 범주와 9개 주제, 31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초등교사는 IB 교육과정 탐색 전 IB 교육과정에 대해 부정적 인식이 강하였다. 초등교사는 IB 교육과정 탐색 후 변화와 IB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도 증진, 실제 적용을 통한 교육적 효과로 인해 긍정적으로 인식이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초등교사의 IB 교육과정 탐색 경험의 의미와 인식의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변화의 의미와 요구를 중심으로 IB 교육과정이 공교육에 도입될 때 교사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tivations, perceptions,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ve explored the IB curriculum. To this end, written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3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who participated in the IB curriculum exploration. The data collected for the study were analyzed using thematic analysis, and the changes in motivation and perceptions and nee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based on their experiences in exploring the IB curriculum were identified and presented in a diagram.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ree overarching categories, nine themes, and 31 subcategories were identified: Pre-exploration, post-exploration changes, and support for implementation. Elementary teachers had strong negative perceptions of the IB curriculum before exploring it. After exploring the IB curriculum,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changed positively due to changes in their understanding of the IB curriculum and its educational benefits through practical application. This study explored in depth the meaning of elementary teachers' experiences of exploring the IB curriculum and the changes in their perceptions, and suggested ways to support teachers as the IB curriculum is introduced into public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성심(Sungsim Lee),김수영(Suyoung Kim). (2024).초등교사의 IB 교육과정 탐색 경험에 관한 다중사례연구: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사를 중심으로. 교육과학습: Global Creative Leader, 14 (3), 101-125

MLA

이성심(Sungsim Lee),김수영(Suyoung Kim). "초등교사의 IB 교육과정 탐색 경험에 관한 다중사례연구: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사를 중심으로." 교육과학습: Global Creative Leader, 14.3(2024): 101-1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