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교육에서 의존명사 ‘바’에 대한 연구
이용수 29
- 영문명
- A Study on the Bound Noun 'ba' in Korean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어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임진숙(Jin suk Lim)
- 간행물 정보
- 『한국어문화교육』제13권 2호, 108~132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1.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다른 성분과의 결합 규칙, 다양한 의미, 화용적 활용이 복잡한 의존명사 ‘바’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여 한국어 교수 방안 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의존명사 ‘바’의 결합형 문법 항목은 형태적, 의미적 제시의 통일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고정화된 패턴 표현에 대한 제시도 규칙성 없이 혼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의미와 용법 분석에서는 의존명사 ‘바’의 제약에 대한 명시적 이 학습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먼저 관형사의 피수식어가 될 수 없고, 언제나 관형절의 수식을 받을 수 있음을 전달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동격절의 피수식어 기능을 할 때는 상위문과 내포문에 동일한 주어가 와야 한다는 제약의 존재와 후행하는 서술어에 제약이 있음을 전달할 필요가 있다. 서술어는 인지동사(알다, 모르다, 생각하다, 상상 하다 등), 전언동사(말하다, 논하다, 전달하다, 보도되다 등), 지각동사 (보다, 듣다, 깨닫다 등), 추상동사(배우다, 속다, 얻다 등) 즉 비동작성 동사와 공존관계를 이루므로 이를 학습자들에게 체계적으로 전달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바 있다/없다’, ‘-바이다’, ‘-바가 아니다’등의 패턴화된 형태를 통일성 있게 제시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전문적이고 학술적인 학업을 수행하는 학문 목적의 학습자를 위해 ‘-는 바에 대해(서), -는 바에 의하면, -는 바에 따르면, -는 바와 같이’등과 같은 공식적인 발표나 말하기 등에 활용되는 표현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et out to develop a discussion about the bound noun 'ba' which is characterized by combination rules with other components, various meanings, and complex pragmatic conjugations,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teaching plans for Korean.
There was no unity in the morphologic and semantic presentation of its combinational grammar items in the teaching materials. Its fixed pattern expressions were also irregular.
The analysis results of its meanings and usages raise a need for explicit learning about its restrictions including that it cannot be a modificand of a noun and determiner, that it can always be modified by an adnominal clause, and that the subject should be the same between a higher sentence and an embedded one when it functions as a modificand in an apposition clause. It is also needed to teach that there are restrictions to following predicates. Since predicates are in coexistence relations with non-action verbs such as recognition verbs(know, do not know, think, imagine, etc.), message verbs(speak, discuss, deliver, report, etc.), perception verbs(see, hear, realize, etc.), and abstract verbs(learn, be deceived, get, etc.), it should be delivered to learners in a systematic manner. There is also a need to present the patterned forms of 'ba' such as ‘- ba issda/eobsda', ‘-ba ida’, and ‘-baga anida’ in unity. It is also required to introduce its expressions used in official presentations or speeches for students with specialized or academic purposes such as “-neun ba-e daehaeseo, -neun ba-e uihamyeon, -neun ba-e ttaleumyeon, and -neun bawa gat-i”.
목차
1. 서론
2. 앞선 연구
3. 의존명사 ‘바’의 제시 현황
4. 의존명사 ‘바’의 의미와 용법 분석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마을공동체 구성원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 렉섬 사례를 중심으로
- 성인 문해능력 수준 결정요인의 변화 양상: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한 2014년과 2023년 비교 연구
- 학습도시를 활용한 스마트시티의 디자인 개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