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ㄴㄹ/연쇄 복합어의 비음화와 유음화 발음 양상 연구
이용수 101
- 영문명
- A Study on the Aspect of Pronunciation in the /ㄴㄹ/ sequence of Compound Words in Korean Language
- 발행기관
- 한국어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류재율(Jae Youl Ryu)
- 간행물 정보
- 『한국어문화교육』제13권 2호, 50~73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1.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의 비음화[ㄴㄴ]와 유음화[ㄹㄹ]가 현실에서 각 계층별로 어떻게 나타나는지 그 양상을 살펴보기 위함이 다. 비음화와 유음화는 오랜 세월 서로 경쟁해 온 발음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그동안 여러 연구들에서 예시로 제시한 복합어들 가운데 친숙한 어휘를 선정하여 두 음운 현상의 발음 빈도를 몇 가지 계층별로 나누어 입체적으로 분석했다. 이러한 음운 현상은 /ㄴㄹ/연쇄 3음절 한자어나 외래어로 된 복합어에서 일어나므로 한자어, 외래어, 고유어 등이 결합한 다양한 형태의 3음절어를 선별하여 어휘목록별 발음 빈도를 제시했다. 그리고 한자나 외래어에 익숙한 세대, 한자어에 익숙하지 않은 10대 청소년,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 등이 단어의 의미를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따라 비음화나 유음화 중 어떤 선택적 교체를 보이는지 비교 분석했다. 평소 친숙한 몇가지 어휘들이 이러한 음운 현상을 중심으로 현실 발음에서 [ㄴㄴ]발음과 [ㄹㄹ]발음으로 어떻게 서로 양분되어 나타나는지 구체적으로 논의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nunciation aspects of the /ㄴㄹ /sequence in Korean. Lateralization and nasalization in Korean language have been competing for a long time. Therefore, in this paper, it has been selected familiar vocabulary among compound words of the /ㄴㄹ/sequence presented as examples in the previous studies and analyzed three-dimensionally the frequency of pronunciation of these two phonological phenomena. In addition, this paper will analyze how pronunciations differ and which pronunciation to choose according to the way people who are familiar with Chinese characters(Hanja) or other foreign languages, teenagers who are not familiar with Chinese characters, and foreign Korean learners recognize the meaning of words. Based on these phonological phenomena, this paper will discuss in detail how the familiar vocabularies of three syllables are divided into [ㄴㄴ] of nasalization and [ㄹㄹ] of lateralization pronunciations in real life.
목차
1. 서론
2. 비음화와 유음화의 유형과 쟁점
3. 연구의 대상과 범위
4. /ㄴㄹ/연쇄 복합어의 계층별 발음 양상 비교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